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흔적과 차연, 타이완 원주민 작가 우딩우 와리스/와리스 라바이(吳鼎武 瓦歷斯/瓦歷斯 拉拜)의 사진 이미지가 말해주는 것들 (Trace and Difference: What the photographic images of Taiwanese indigenous artists Wu Dingwu Waris/Waris Labai tell u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12
23P 미리보기
흔적과 차연, 타이완 원주민 작가 우딩우 와리스/와리스 라바이(吳鼎武 瓦歷斯/瓦歷斯 拉拜)의 사진 이미지가 말해주는 것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연구 / 97권 / 431 ~ 453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우딩우 와리스/와리스 라바이(吳鼎武 瓦歷斯/瓦歷斯 拉拜)는 중국 대륙으로부터 온 외성인 한족 아버지와 타이완 원주민 사이더커족(賽德克族, 일제시기에 토다 Toda,道澤로 불림)사이에서 태어난 컨템포러리 미술작가이다. 와리스 라바이의 경우 역시 ‘원’주민을 논하는 문제에 있어 작가 자신의 ‘현재성’을 강조한다. 그는 원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문화들이 단순히 ‘과거’에 머물러 보여지기 식의 박물관화되는 현상을 거부한다. 그것은 원주민들을 과거의 어느 지점으로 밀어넣고 지금 현재 타이완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와리스 라바이에게는 원주민으로서의 정체성보다는 지금 타이완에 현존하는 기타 다른 미술작가들과 동일선상에서 작품을 인정을 받는 일이 더 중요하다. 그것은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적 접근으로 이루어진 타이완 원주민에 대한 접근 방식이 아닌, 타이완 원주민의 현재성을 문제시 삼는 것이다. 중화민국이라는 나라에서 원주민들은 하나의 ‘흔적이 지워진 흔적’이기 때문이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말했듯이 ‘흔적은 현존이 아니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주로 사진작업이나 그를 바탕으로 컴퓨터 가상이미지를 덧붙여서 미디어아트로 흔적들에 새로운 흔적을 가미하여 컨템포러리성을 구현한다.
    와리스 라바이가 첫 개인전시를 연 것은 2001년부터이다. 그는 ‘보이지 않는 형체’프로젝트(隱形計畫, Invisible Project)를 시작하면서, ‘사람’, ‘동물’, ‘나무’에서 ‘원주민’까지 모든 소재들은 원주민인 본인의 할머니이야기를 1차 흔적으로 사용하여 사진 섬광이나 혹은 컴퓨터 연출효과를 통한 새로운 흔적을 새기는 작업들을 한다. 와리스 라바이가 접근해가는 원주민 컨템포러리는 현대의 서구시선에서 ‘보여지는’ 타자로서 과거의 한 집체로 인식되는 기록적 측면의 공예가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예술가 스스로의 내면화된 작품을 개인적으로 표출하는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개인적인 예술 활동이 타이완의 컨템포러리 아티스트로서 인정을 받는다는 것은 곧 와리스 라바이가 타이완섬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예술가로서의 자리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단체적으로 권리를 주장하며 정치활동을 폈던 강경한 행동에서 개별적으로 원주민들의 ‘현재적 위치’를 사회 속에서 위치시키면서 취할 수 있는 한 방법이다. 따라서 이것은 예술‘작품’이라는 고정성보다는 예술‘실천’이라는 유동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Wu Dingwu Waris/Waris Labai is an indigenous Taiwanese contemporary artist. He is of descent from a Han Chinese father and the Taiwanese indigenous Deuke people (called Tod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observing his works, Waris Labai emphasizes his presence when discussing indigenous people. He rejects the phenomenon of cultures that simply remain the "pas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as a means of only being shown in museums. This is because it results in pushing the indigenous people to a certain point in the past and neglecting the indigenous people currently living in Taiwan.
    For Waris Labai, it is more important for his work to be recognized on the same level as other artists currently living in Taiwan rather than his identity as an indigenous person. It is not an ethnographic approach to Taiwan's indigenous people but rather questions the present nature of Taiwan's indigenous people. It is instead because, in the country called the Republic of China, the indigenous people are a trace that has been erased. As Jacques Derrida said, the trace is not a presence but is the simulacrum of a company that dislocates, displaces, and refers beyond itself. Therefore, his works embody contemporary nature by adding new hints to the traces through media art by adding computer virtual images based on photography or the like.
    Waris Labai held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2001. Starting the <Invisible project>, he works on all materials ranging from people, animals, and trees to indigenous people, using the story of his grandmother, an indigenous person, as a trace of a defferance and engraving new paths through photo flash or computer production effects. The indigenous contemporary that Waris Labai approaches is not a documentary craft recognized as a collection of the past as another seen from a modern Western perspective, but rather a personal expression of the internalized work of the artist living in the present.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se personal artistic activities are recognized as contemporary artists in Taiwan means that Waris Labai is establishing himself as a cultural artist who can represent the island of Taiwan. People can take this method by individually positioning the status of indigenous peoples in society rather than taking hard-liner actions that collectively assert their rights and engage in political activities. Therefore, this is a flexible method of artistic practice rather than the fixedness of a work of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