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림책 리터러시: 볼프 에를브루흐의 『내가 함께 있을게』를 통해 본 ‘죽음’ 이미지에 관한 서양 문학과 문화의 상호텍스트성 (Picture Book Literacy: Intertextuality of Western Literature and Culture Seen through Wolf Erlbruch’s Duck, Death and the Tulip)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그림책 리터러시: 볼프 에를브루흐의 『내가 함께 있을게』를 통해 본  ‘죽음’ 이미지에 관한 서양 문학과 문화의 상호텍스트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92호 / 335 ~ 361페이지
    · 저자명 : 김순녀

    초록

    본 논문은 그림책 매체의 ‘비판적 리터러시’, 상호텍스트성, 예술문화의 역사성에관한 ‘그림책 리터러시’연구로서, 이미지가 담고 있는 죽음에 대한 사유와 역사성을 살펴볼 수 있는 볼프 에를브루흐의 『내가 함께 있을게』(2007)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볼프 에를브루흐는 독일 부퍼탈에서 태어나 1974년대부터 활동한 그림책 작가로, 부퍼탈에서 타계했지만 철학적 사유를 그림책으로 표현하여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작가이다.
    그림책 『내가 함께 있을게』에서 나타나는 등장인물과 오브제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한 알레고리와 ‘바니타스 정물화’의 연관성, 특히 필립 드 샹파뉴의 바니타스 정물화 <바니타스 또는 인간 삶의 알레고리>(1644)와 비교하여 튤립, 해골, 모래시계 세 모티프의 유사성에 대해 논증하였다. 에를브루흐의 그림책은 서양미술의 오래된 주제 ‘죽음의 무도’와 관련이 있다. 서양의 오랜 전통문화 예술인죽음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관련한 그림과 재해석, 나아가 월트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실리 심포니스. 죽음의 무도>(1929)의 영향으로 죽음에 대한 희화와 ‘죽음’ 캐릭터의 따뜻하고 유머스런 이미지를 살펴볼 수 있다.
    등장인물 ‘죽음’이 손에 든 ‘검은 튤립’은 오리의 죽음을 애도하는 상징적인 이미지를 넘어 알렉상드르 뒤마의 『검은 튤립』(1850)과 샤를 보들레르의 「여행에로의 초대」(1864)에서 시적인 모티프로서 역사 속에서 ‘잔존하는 이미지’의 상호텍스트성적인 연관성을 밝혔다. 검은 튤립의 알레고리와 침묵은 네덜란드 튤립파동을 소재로 인간의 ‘살아있는 예술’에 대한 열망과 욕망을 상징하는 모티프로서, 볼프 에를브루흐가 그린 꽃이 왜 문학적·예술적 모티프 ‘검은 튤립’으로 재현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critical literacy’, intertextuality and the historicity of art culutre in the picture book medium and focuses on Wolf Erlburuch’s Duck, Death and the Tulip (2007) to examine the thought of death and the historicity of its image. Wolf Erlbruch was a picture book artist born in Wuppertal, Germany, and active since 1974. Despite the fact that he has lived all his life in Wuppertal, he gained international acclaim for his philosophical approach in picture books.
    To begin, we delved into connections between the allegory of life and death and ‘Vanitas still life’, examining the characters and objects revealed in Duck, Death and the Tulip, in particular Philippe de Champagne’s vanitas still life <Vanitas or Allegory of Human Life>. We than explored the similarities among tulip, skull, and houglas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f paintings and re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Dance of Death’, an age-old them in Western art and philosophical thinking.
    Additionally, we analysed Walt Disney’s animation <Silly Symphony>, influenced by The Dance of Death (1929), to understand the caricature of death and the warm, humorous portrayal of the ‘Death’ character. The ‘black tulip’ grasped by the character ‘Death’ transcend its role as a symbolic image mourning the duck’s demise and evokes associations with Alexandre Dumas’s The Black Tulip (1850) and Charles Baudelaire’s “Invitation to the Voyage” (1864). This uncovers the intertextuality of ‘surviving image’ throughout history as poetic motifs. The allegory and the silence embedded in the black tulip serve as a motif symbolizing human desires the yearnig for ‘living art’,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Dutch tulip mania. This analysis looks into why the flower chosen by Wolf Erlburch takes on new life as the literacy and artistic motif of the ‘black tul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