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민속학의 가능성과 과제: 학문의 공공성이 문제되는 시대에 민속학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The Possibility and the Task of Public Folklore: how would the folklorist react when the publicness of the academy is in ques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08
29P 미리보기
공공민속학의 가능성과 과제: 학문의 공공성이 문제되는 시대에 민속학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4권 / 9 ~ 37페이지
    · 저자명 : 스가 유타카(菅豊)

    초록

    지금 학문의 공공성이 문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연구자나 전문가는 자신이 전공하는 학문과 지식생산이 시민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이나 사명, 그리고 그 방법과 윤리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것은 응용과학과 자연과학 연구자뿐만 아니라 종래 실사회의 문제와 약간이나마 거리를 두어온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도 예외가 아니다.
    민속학 분야에서는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 공공민속학이 시작되어, 사회실천 속에서 민속학의 응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 활동의 주안점은 문화의 재현과 응용, 나아가 재맥락화, 그리고 다양한 행위자들의 협력작업이라는 부분에 있다. 공공민속학은, 공공민속학자가 다양한 수법으로 민중 전통이나 그것을 보지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것이 존재하는 곳에 개입, 관여하면서 다종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그 문화를 재현하고 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공민속학의 특징 중 특히 협력이라는 행위의 존재방식은 학문의 공공성이 문제되는 시대의 기본 이념이 되고 있다. 그런 까닭에 공공민속학에 있어서 공공민속학자는 민속학을 다양한 행위자에게 개방할 뿐만 아니라, 그 다양한 행위자와 전문가의 관계방식조차도 되묻지 않으면 안 된다. 공공민속학에서는 민속학 연구자가 전통의 담당자를 대하는 자세나 방법, 그리고 전통의 담당자가 민속을 둘러싼 실천을 지향하는 자세와 방법이 항상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그것은, 예전엔 전문적인 민속학 연구자의 관리 하에 있던 민속을 일반 대중이 관리하고, 민주적인 과정으로 민속의 유지나 보호, 개변, 이용에 대중들이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니까 현재의 공공민속학에서는 전문가로서의 민속학 연구자가 비전문적인 사람들을 향해 그 지식을 단지 전달하는 것만이 아니라, 양자가 협력하여 함께 민속학을 수행한다는 것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 그 협력작업의 이상적인 원리나 숭고한 이념이 일반화하고 있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그것이 충분히 관철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니, 오히려 연구자나 전문가가 협력 작업을 위장하여, 협력하는 사람들을 속이고 이용하는 심각한 사태도 보게끔 되었다. 그런 가운데 공공민속학자는 농밀한 필드워크로 사람들이 바라는 현실을 이해하고 그들의 생각에 공감하며, 그들이 원하는 현실을 협력작업을 통해 창출함으로써 협력작업의 위장에 대항해야만 한다. 바로 거기서 장기간에 걸쳐 펼쳐지는 민속학적 사회실천은 여타 학문에는 부재한 방법적 독자성과 우위성을 보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For the publicness of the academy is in question nowadays, the scholars or the experts should seriously consider the role, mission, method and the ethics of one’s own study and knowledge production in the civil society. It is not only related to the applied science and natural science scholars, but also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cholars, who have kept their distance from the problems of the real society.
    In the field of folkloristics, the public folklore has started in America since the 1970s, and has applied the folklore in the social practices. These activities focus on the representation, application, and furthermore the recontextualization of the culture, as well as on the collaboration of the various agents. The public folklore refers to the represent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e by the folklorist, along with a variety of people. The public folklorist make intervention and engagement to the folk tradition, the people who preserve it, and the place where it exists.
    Among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folklore, especially the way of existence of the collaboration is becoming the basic ethics of the time when the publicness of the academy is in question. Thus, in the realm of public folklore, the public folklorist should not only make the folkloristics accessible to the various agents, but also question the way of relationship between those agents and the experts. In the field of public folklore, the attitude and method of the public folklorist toward the preservers of the tradition, and those of the preservers of the tradition toward the practices regarding the folklore are always the considerable issues. Also, the aim of public folklore is to put the folklo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on public - which was formerly under the control of the public folklorist. And encouraging the public to engage in the conservation, amelio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folklore through the democratic process is the aim of the public folklore as well. Hence the current public folklore concentrates on the collaborative folkloristics practices between the folklorists and the non-experts, as well as delivering the knowledge from the experts to the non-experts.
    At present, the ideal principles and the sublime idea of the collaborative work is getting generalized. However, they aren’t fully accomplished in the actual field. Moreover, there are even the cases where the scholars or the experts deceive and exploit the people under the pretence of collaboration. In these circumstances, public folklorists must go through the deep fieldwork, understand the reality that people wish, sympathize with them, and realize the reality through the collaboration in order to countervail the deception. From then on, the long-term social practices of the folkloristics would hold the methodological identity and superiority that are absent in other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