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 식물 표상에 담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 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of ‘Elements Representing the 90’s’ in Animal and Plant Imageries - Centered on the Poetry of Sung Mijeong and Lee Soomyeo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3
37P 미리보기
동, 식물 표상에 담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 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91호 / 39 ~ 75페이지
    · 저자명 : 김선우

    초록

    이 논문은 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에 나타난 동, 식물 표상을 살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 현대시사에서 1990년대는 전대인 1980년대의 잔해를 감각하고 후대인 2000년대의 예고를 나타내는 독특한, 역동적 시대이기에, 시사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지만, 그에 관한 구조적, 체계적 논의는 미흡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논은 1990년대를 ‘모색’과 ‘극복’을 수행하던 시대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가령 ‘모색’은 ‘우리’보다 ‘나’의 문제를 시에 적극적으로 배치하게 된 사정, ‘극복’은 재래의, 근대적 가치 체계를 무너뜨린 상황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성미정 시의 동, 식물 표상에는 “나무”와 “동물”이 있었다. “나무”는 ‘나’와 적극적으로 연결됨으로 하여 ‘나’의 징후 및 정체성을 발현하는 데 기능하였으며, “동물”은 “내 마음”을 곧 “동물원”이자 “동물들”로 환원하여 ‘나’의 혼란을 넘어 역동을 자아내며 작용하였다. 이수명 시의 동, 식물 표상에는 “꽃”과 “새”가 있었다. “꽃”은 ‘나’를 포함하여 “사람들”과 대비를 이루거나 조응하면서 ‘소외’를 추동하는 현실을 실감하고 극복하도록 하였고, “새”는 단일한 존재이자 복수적 존재로, 인간과 동물의 경계가 허물어진 것을 표상하면서 혼란스러운 “복도”를 종횡하는 역동적 존재로 드러났다. 이들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은 재래, 전통의 시가 표상하지 못하였던 생명, 활기, 역동을 자아냄으로써 1990년대 이후 시의 반성과 그 감수성을 자아냈다는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두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은 공통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나무”, “동물”, “꽃”, “새”를 표상한다는 대목에서 눈길을 끌었다. 나아가 두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이 나타내는 ‘1990년대적인 것’에는 ‘여성시’적 특이성이 농밀하게 잠재하여 있어 유의미하기도 하였다.
    2000년대 이후 시의 ‘반성’적 사유는 1990년대 시에 담겨 있는 ‘모색’과 ‘극복’이 조성한 ‘1990년대적인 것’과 무관할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렇다면, 지금-여기의 시를 논의하는 데 있어, ‘1990년대’ 및 ‘1990년대적인 것’은 흙먼지가 끼어 있는 유물이 아니라 생생히 살아있는 현재의 사물이라 여겨볼 필요가 크다고 느껴졌다. 이 논문을 계기로, 동물과 식물 표상뿐만 아니라, ‘1990년대적인 것’을 다양하게 내포하는 동시대적 시를 살펴 1990년대 시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2000년대 이후 시에 관한 평가를 수행해가야 옳으리라 여겨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nimal and plant imagery present in the poetry of Sung Mijeong and Lee Soomyeong from the 1990s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what constitutes the '90s. In the context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1990s represents a unique and dynamic era that senses the remnants of the preceding 1980s and foreshadows the future of the 2000s. While it holds significant value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ere remains an insufficient structural and systematic discussion on this topic. This paper positions the 1990s as a period of exploration and overcoming, unfolding the discourse accordingly. Exploration entails actively addressing individual issues rather than collective concerns, while overcoming signifies the collapse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 systems.
    Sung Mijeong's animal and plant imagery include "trees" and "animals." Trees actively connect with the self, manifesting signs of identity, while animals, representing the poet's inner self, transcend confusion to evoke dynamism. In Lee Soomyeong's poetry, imagery revolves around "flowers" and "birds." Flowers, juxtaposed with humans, evoke and overcome the sense of alienation, while birds, representing both singular and plural existence, blur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animal, symbolizing a dynamic presence traversing the perplexing "corridor" of life. These poets' animal and plant imagery imbue post-1990s poetry with vitality and dynamism, offering a reflection on and sensitivity to the era.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current presence of primal imagery such as "trees," "animals," "flowers," and "birds" in both poets' works. Moreover, the Implications of the 1990s represented by the animal and plant imageries of the two poets was meaningful because the specificity of "women's poetry" was densely latent.
    The reflective discourse of post-2000s poetry cannot be detached from the exploratory and overcoming spirit encapsulated in the 1990s. Therefore, in discussing contemporary poetry, it is imperative to view the '90s and its implications not as dusty relics but as vibrant elements of the present. This paper serves as a catalyst to illuminate 1990s poetry from various angles, not only through animal and plant imagery but also through the multifaceted exploration of what constitutes the '90s, thus facilitating a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ost-2000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