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공간의 사유 - 일본 전통건축의 잠재적 개방성을 활용한 미조구치 겐지의 영화공간구성 (The Cogitation of Cinematic Space: The Construction of Mizoguchi Kenji’s Film Space associated with the Latent Openness of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8.08
39P 미리보기
영화공간의 사유 - 일본 전통건축의 잠재적 개방성을 활용한 미조구치 겐지의 영화공간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30호 / 83 ~ 121페이지
    · 저자명 : 임철희

    초록

    본고는 일본 전통건축공간의 반 고정성에 따르는 잠재적 개방성이미조구치 겐지의 영화공간에 적용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이것은 전통적 문화공간이 영화의 공간과 조응하는 방식을 감독의 미적 사유를 경유하여 살펴보는 작업이다. 일본 건축공간에는 전체와 부분의 관계가가변적인 특성이 내재한다. 이로 인해 공간의 내부와 외부 그리고 중심과 주변의 관계는 유동적이 된다.
    미조구치는 이러한 일본 건축공간의 경계적 특성을 영화적으로 잘활용한 감독이다. 본고에서는 감독의 영화적 성숙기라고 할 수 있는1950년대 후기작품을 위주로 이 점을 고찰하였다. 일본 건축공간의가장 주요한 특성으로서의 잠재적 개방성은 미조구치 영화에서 서사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인물의 정서를 제시하고 그의 현실을 환유하는밑그림이 된다. 감독은 이러한 공간을 롱 테이크와 롱 쇼트, 딥 포커스 등과 같은 리얼리즘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냉철하게조망했다. 여기에 카메라 움직임이 결부되면서 미조구치 영화공간의내화면과 외화면의 관계는 유기적으로 된다. 이러한 관계성의 미적사유는 결과적으로 영화공간의 밀도를 충만하게 만든다.
    건축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한 미조구치 영화공간의 확장은 인간의 삶과 현실의 중요한 세부들을 섬세하게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
    그러므로 미조구치에게 건축공간의 영화적 재현은 삶의 공간을 영화의 공간 안으로 옮기는 일이다. 공간을 관찰하고 그것의 의미를 찾는일은 인간에 대한 작가의 시선과 삶에 대한 태도가 투영되는 것이기도하다. 이것은 결국 감독의 세계관이 표출되는 방식을 지시하는 것이며, 작가의 사유가 탁월한 미장센의 언어로 표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atent openness of traditional Japanese architectural space is applied to Kenji Mizoguchi’s cinematic space. The Japanese architectural one has a characteristic which is that the whole and the part of the space are variable. Because of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can be flexible.
    This study focuses on Mizoguchi’s 1950s film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inematic maturity of the director. The latent openness as the nature of the Japanese space culture helps the narrative to depict the character’s reality and emotional state. The architectural space in his film is presented by realism film techniques such as long take, long shot and deep focus. This is intend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hardships and sacrifice of a character.
    Mizoguchi’s camera movement tends to combin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pace. In addition, horizontal lines, vertical lines, and surfaces of the architectural space shown by the camera movement consequently create the graphic formality of the frame. Eventually, the latent openness of the architectural space expands the film space, which means that the off-screen becomes dynamic.
    Mizoguchi’s framing represents an aesthetic thought on how to construct the cinematic space from a consideration of how to utilize the architectural space as the place of film narrative. The world view of the director is expressed by his film technique and style. It includes an auteur’s cogitation about the language of mise-en-scè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