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품들과 “시적인 것”― 1980년대 박노해ㆍ황지우ㆍ장정일의 시와 상품체험의관계에 대하여 (Commodities and "the Poetic" : On the works and it's horizon of Korean modern poests(Park-No-Hae, Hwang-Ji-Woo, Jang-Jeong-Il) in 1980'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3
23P 미리보기
상품들과 “시적인 것”― 1980년대 박노해ㆍ황지우ㆍ장정일의 시와 상품체험의관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25호 / 177 ~ 199페이지
    · 저자명 : 김수림

    초록

    1980년대 노동문학과 운동을 이야기하는 데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노동자 시인 박노해의 첫 등장은 1983년 『시와 경제』라는 무크지 2집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같은 책에는 황지우 또한 작품들을 발표하고 있었다. 시인 장정일은 이들과 비슷한 시기에 역시 무크지를 통해 등단하였고, 이 세 사람은 1년 가량의 간격을 두고 자신들의 첫 시집을 출간하였다. 이 세 사람의 시인들은 지금까지 전혀 다른 사회적/문학(사)적 맥락과 담론들 속에서만 논의되고 해석되어왔다. 그렇지만 이들에게는 활동 시기, 활동 공간(무크지 운동과 같은 기존의 제도 바깥의 장소)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인접성이 존재했다.
    박노해, 황지우, 장정일 이들 모두가 각자의 방식으로“아무나”시를 쓸 수 있고, “아무거나”시가 될 수 있는 것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황지우의 표현대로라면 (기존 문학의 한 양식으로서의) ‘시가 아니라 시적인 것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이 추구했던 “시적인 것”은 다른 한 편으로는 상품체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이 논문이 1차적으로 논증하고자 하는 것은 이들의 작업에서 엿볼 수 있는“시적인 것”과 상품체험의 관계이다.
    최근 10여 년간 활발하게 이루어져온 1970~80년대 노동자 문학운동/글쓰기운동에 관한 연구들은 “프롤레타리아의 밤”에 관한 랑시에르의 논의에서 공통의 정거장을 발견한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에서 다룬 세 사람의 시인들 또한 노동자/시인, 시/비시(非詩)와 같은 기존의 위계질서에서 문화가 분배되는 방식을 거부했다는 점에서 1980년대 “프롤레타리아의 밤”의 자장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이들에게서 “시적인 것”과 상품체험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1980년대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은 ‘상품들의 백일몽’과 공존 혹은 중첩되어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irst debut of worker-poet Park, No-hae who was represented 1980's working-class literature and movement made at 1983 non-periodical publication called "Poem and Economy" vol.2. In this so called 'Mook' publication, Hwang, Ji-woo's poem works are also can be found. Jang, Jeong-il also made his debut by 'Mook' publication and these three poets published their first books each between 1983 to 1987. They have been discussed in separat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discourse, despite of their contiguity in time(mid 1980's) and place(non-periodical publication movement) Park, No-hae, Hwang, Ji-woo, Jang, Jeong-il, these three poets sought similar goal that claiming "anyone can write poetry" and "anything can be the poetic" in their own ways. As in Hwang, Ji-woo's expression, they had common ground for they "sought the poetic, not poem". "The poetic", which they sought, was intimately related to experience of commodities. Thes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etic" and commodities are first thing to argue in this paper.
    If this relations are true, it can be said that "Proletarian nights" in 1980's south korea were overlapped with 'the daydreams of commod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