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미즘에 있어서 감성교육은 필요한 것인가? - 토마스 아퀴나스 감성론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조명 - (Est-il nécessaire, pour le thomisme, l'éducation de la sensibilité? - L'illumination sur le sens moderne à la théorie de la sensibilité chez Thomas d'Aquin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9
23P 미리보기
토미즘에 있어서 감성교육은 필요한 것인가? - 토마스 아퀴나스 감성론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조명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5호 / 53 ~ 75페이지
    · 저자명 : 이명곤

    초록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서 감각과 이성은 하나의 지속적인 인식과정처럼 고려된다. 감각(sensus)이란 오감의 기능이나 오감이 감각적인 것을 인지하는 사태를 의미하며, 감성(passio)은 이러한 감각적인 것이 구체적인 행위로 나타나는 것, 즉 성냄, 두려워함, 기뻐함 등의 감각에 기초한 내적인 성질 혹은 기질이라고 할 수 있다. 지성적 인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감각적인 이미지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는 토마스의 사유는 감각이 지적인식의 출발점임을 말해주고 있으며, 감각적인 인식이 동반될 때 비로소 지성적인 인식이 완전하게 된다는 그의 사유는 인간의 인식에 있어서 감각적인 인식의 위치를 말해주고 있다. 감성이 ‘정념’이나 ‘갈망’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 것이라는 측면에서 감성의 능력은 인간의 모든 실존적인 지평 ― 감각적, 지성적, 영성적 지평 ―에서 동인처럼 작용하고 있다.
    토미즘의 감성론은 ‘인격완성’ 혹은 ‘자아와성’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한 개인의 영혼이 그 자체 개별자라는 것과 이에 따라 한 개인에게 있어서 최종적인 앎이란 개별적인 앎이요, 또한 이러한 개별적인 앎은 감각하고 느끼는 차원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한 개인이 지닌 감각상(species sensibilis)은 그의 경험적 사실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술가들의 풍부한 감수성이란 이러한 감각상의 완전함을 의미한다. 모든 개인들이 저마다 독특한 자신만의 고유한 감성을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감성적 인식 역시도 각자에게 적합한 교육환경이 필요한 것이며, 이러한 고유한 자신만의 감성적 능력을 실현한다는 것은 곧 ‘자아실현’의 한 방편이 되는 것이다. 인간이란 완성을 향해 운명 지워진 존재라는 차원에서 ‘인간의 모든 실존적 지평의 삶’은 ‘전인교육’이란 형식으로 보다 완성되어져야 할 것이며 여기서 감성교육은 마치 그 초석처럼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Pour st. Thomas le sens et la raison sont considerés comme processus épistémologique qui est un et continu. Le sens(sensus) signifie les cinq sens ou bien le fait que les cinq sens saisissent l'objet sensuel, et la sensibilité (passio) signifie le fiat que cette chose sensuel apparaît par l'acte concret, par exemple la colère, la peur, la joie etc. On peut appller celles-ci comme la nature interne basèe aux sens extérieurs. La pensée de st. Thomas d'après laquelle pour que la perception intellectuelle soit possible il faut nécessairement l'aide des images sensorielles, signifie que le sens est le point de départ de la perception intellectuelle. Et aussi sa pensée selon laquelle la perception intellectuelle soit achevée avec l'accompagnement de la perception des sens, nous montre la position de la perception sensorielle dans la perception humaine. Au point de vue où la sensibilité est intimement liée avec le sentiment ou le désir, la puissance de la sensibilité est comme cause efficiente de toute horizon d'existence humaine, sensoriel, intellectuelle, spirituelle etc.
    La théorie thomiste de la sensibilité est importante au point de vue de 'l'achèvement de la personnalité humaine' ou de 'l'achèvement de la conscience de soi'. Parce que chez st. Thomas pour une personne sa connaissance dernière est la connaissance personnelle, et que cette connaissance personnelle commence au plan de sentir et de resentir. L'espèce sensible(species sensibilis) qu'une personne possède soit différente selon ses expériences diverses, et la sensibilité abondante chez les artistes signifie la perfection de leurs l'espèces sensibles. Au sens où toute personne possède sa sensibilité propre, la perception sensitive a besoin aussi du milieu de l'éducation qui est propre à chacun, et la réalisation de la puissance propre de sa sensibilité devient un des moyens de réaliser 'la l'achèvement de la conscience de soi'. Puisque l'homme est un être qui est déstiné vers la perfection de son être, la vie de toutes persfectives de l'existence humaine doit être perfectioner sous forme de 'l'éducation pour le développement intégral de l'individu', et là 'l'éducation de la sensibilité apparaît comme pierre angula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