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중히 여기는 것에 관한 욕구와 행복‒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Desires for what one cares about and happiness - A critique of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6.05
26P 미리보기
소중히 여기는 것에 관한 욕구와 행복‒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27호 / 153 ~ 178페이지
    · 저자명 : 한곽희

    초록

    이 논문은 행복에 관한 이론 중 욕구만족이론의 한 형태를 탐구한다.
    본 논문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프랭크프르트(Harry G.
    Frankfurt)가 제시하는 ‘소중히 여김’(caring)과 ‘의지적 필연성’(volitional necessity) 이 행복에 관한 견해를 설명해 주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는 행복에 관해프랭크프르트가 견지하는 입장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나는 프랭크프르트의 견해에서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 필연성’이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 개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의 성취가 행복이라고 할 때, 소중히 여기는 것을 하는 것과 의지적 필연성에 의한 힘에 의해 행동하는 것은 행복해지는 길이라는 것이 프랭크프르트의 주장이다. 둘째 목표의 성취를 위해, 나는 ‘소중히 여김’과 ‘의지적필연성’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잘 드러낼 수 없다고 주장한다. 프랭크프르트의 견해를 따르게 되면 한 개인이 불운으로 여기는 것이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드러내는 경우가 있게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가치 있다고 여기는것과 소중히 여기는 것이 일치하지 않을 때 전자가 아닌 후자가 자신이 원하는바를 드러낸다고 할 설득적인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소중히 여기는 것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나 판단하는 것과 완전히 독립적이라면, 소중히 여기는 것이 한 개인의 진정한 욕구를 표현한다는 것은 이상할 수 있다. 의지적 필연성에 관해선, 의지적 필연성의 힘도 한 개인의 진정으로 원하는 바를 잘 표현한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의지적 필연성의 힘과 그 힘에 반대되는것 중 어느 것이 진정한 욕구의 표현인지 결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a possible account of happiness (a kind of desiresatisfaction theory) that I think Harry G. Frankfurt suggests. I pursue two aims in this paper, one of which is to explain some arguments that Frankfurt holds with respect to happiness. The other is to argue that Frankfurt’s arguments have some problems.
    My view is that two notions can illuminate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The notion of ‘caring about something’ and the notion of ‘volitional necessity’ are the two notions. I argue that on Frankfurt’s view, happiness consists in getting or doing what one cares about. I also argue that Frankfurt’s view is that happiness can come from doing w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asks one to do In arguing against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 explain why Frankfurt’s view of happiness is not completely acceptable. I argue that the notion of caring and of volitional necessity do not express very well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I also point out that on Frankfurt’s view what one regards as a misfortune can be what one really wants. In addition, I argue that there is no compelling reason to think what one really wants can be expressed not by what one values but by what one cares about when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I also argue that what one cares about cannot be completely independent of one’s valuing or judging. If caring can be independent of valuing or judging, it would be odd to think that what one cares about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or one’s true self.
    With respect to volitional necessity, I argue that Frankfurt fails to convince us to accept that the force of volitional necessity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I also argue that it might be impossible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one’s true desire when one has lots of higher-order desires. In addition, I argue that notion of self-satisfaction cannot help us to decide which higher-order desire expresses what one really w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