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래하지 않을 미래를 쓴다는 것 ―해방기 북한 토지개혁과 『농민소설집』(1949) 시리즈를 중심으로 (To write a future that will not come ― Focusing on land reform in North Korea and the Nongmin Soseoljip(Peasant Novel Collection) (1949) seri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06
44P 미리보기
도래하지 않을 미래를 쓴다는 것 ―해방기 북한 토지개혁과 『농민소설집』(1949) 시리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6호 / 163 ~ 206페이지
    · 저자명 : 임세화

    초록

    이 글은 북조선농민동맹중앙위원회 군중문화부가 토지개혁 3년차를 맞아 출간한 『농민소설집』 시리즈(총3권·4책)의 기획 배경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농민소설집』은 전형적인 농촌 선전 서사로 읽히기 쉽지만, 그 서사의 배면에는 당대 북한사회의 핵심 과제들과 욕망, 난제들이 투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해방기 ‘토지개혁’은 북한에서 이룩한 반제국주의·반봉건주의와 ‘민주주의’의 성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자, 진정한 ‘해방’의 의미와 본질을 설파할 수 있는 증좌였다. 남북은 ‘두 번의 해방’이라는 수사를 통해 ‘해방’의 의미를 각기 전유하고, 이념적 정당성과 우월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농민소설집』은 토지개혁으로 실현된 경자유전의 원칙 위에서 농민이 경제적 주체로서 일정한 토대를 구축하고, 그를 기반으로 정치적 주체로 거듭나게 되는 진정한 ‘농민해방’의 미래를 그렸다. 『농민소설집』은 공식적 창작방법론에 따라 이상적이고 긍정적인 ‘교양’을 체현한 작품을 선별하여 편찬되었지만, 그 소설들에는 기획의도를 배반하는, 소유·신분 질서의 해체로 인한 농촌 공동체의 갈등과 미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조선경제구조를 기형화한 식민지 자본주의의 침투 이후에도 나름의 도덕경제 안에서 공동체를 꾸렸던 마을 사람들은 토지개혁을 기점으로 새 경제 체제와 변화된 도덕률의 세계에 인입하게 된다. 과거의 소유 제도와 관습 안에서 규정되던 한 사회의 도덕과 질서가 격랑을 맞게 된 것이다. 지주와 빈농을 선악의 도덕적 구도로 간주하는 관점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예컨대 과거 자영농·자소작농이 토지개혁을 바라보는 미묘한 심리나 신분의 위계가 해체되며 머슴과 동등한 처지가 된 평민의 불만이 새로운 공동체에 수렴-충돌하는 양태를 소설은 ‘해소 가능한 갈등’으로 그려냈다.
    『농민소설집』의 소설들은 당대의 담론장에서 운위되지 않고 포착되지 않았던 문제들을 담아내고, 현실세계의 난제들을 서사적 공간에서 재현하며 그 해결의 과정을 상상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레알리틱’한 농촌 현실의 재현을 중시했던 북의 작가들이 ‘도래해야 할 미래’를 전제한 뒤, 그 ‘오지 않은 미래’를 형상화해야 했던 난망, 서사적 공백으로 남겨진 도정의 흔적은 오지 않은(을) 미래를 ‘부재(不在)’로 언명하지 않기 위한 문학의 응전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Peasant Novel Collection' series published by the people Culture Depart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North Korea Farmers League to mark the third year of land reform. Although the 'Peasant Novel Collection' is easy to read as a typical rural propaganda novel, it deserves attention because it reflects the core tasks, desires, and difficulties of the contemporary North Korean society behind the narrative. The 'Land Reform'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a visible indicator of the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ism accomplished in North Korea, and the achievement of 'democracy.' Also, it was corroborative evidence that could preach the true meaning and essence of 'liberation'. Through the rhetoric of ‘two liberations,’ the two Koreas interpreted the meaning of ‘liberation’ differently and tried to prove their ideological legitimacy and superiority.
    The 'Peasant Novel Collection' depicted the future of true 'peasant liberation', in which the peasants build a certain foundation as an economic ag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farmland ownership realized by the land reform, and based on this, become a political agent. The 'Peasant Novel Collection' was compiled according to the official creation methodology by selecting works that embody the ideal and positive 'buildung'. However, the novels contained the conflict and confusion of the rural community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the ownership and social status orde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the novel collection. The novels in the 'Peasant Novel Collection' showed problems that were not discussed and captured in the discourse of the time, depicted the challenges in the real world in a narrative space, and presented the problem-solving process as an imaginary alternative. It was difficult for the North Korean writers, who emphasized the reproduction of the 'real' rural reality, to shape the 'future that has not come'. The traces left in the narrative blank were a response from literature in order not to declare the future that has not come (will not come) as ‘absenc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