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성한 것(theion)’ 으로서의 ‘잘-삶(eudaimonia)’에 대하여-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Well-being(eudaimonia) as Something Godlike(theion) -Focusing o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4
36P 미리보기
‘신성한 것(theion)’ 으로서의 ‘잘-삶(eudaimonia)’에 대하여-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22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도형

    초록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니코마코스 윤리학>>(Ethica Nicomachea EN) 1.7장의 기능(ergon)에 대한 논증을 통해서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삶은 ‘최고(aristēn)이며 가장 궁극적(teleoitatēn) 탁월함을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라는 행복에 대한 유명한 정의를 도출한다, 그런데 소위 포괄론자들과 우월론자들은 이 ‘최고이며 가장 궁극적 탁월함’이 의미하는바에 대하여 오랜 시간 이견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포괄론(inclusive end view)은 최고의탁월함이란 포괄적(inclusive) 탁월함, 즉 탁월함 전체를 의미하며, 바로 이러한 탁월함을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삶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인간의 행복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우월론자(dominant end view) 들은 가장 우월한(dominant 혹은 monolithic) 탁월함 즉 관조적 탁월함인 철학적 지혜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최고의 탁월함이고, 이러한 탁월함을 궁극적 목적으로 삼는 삶이 인간이 영위할 수 있는 최고의 삶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이 두 견해의 또 하나의 중요한 논쟁점은, 행복과 관련한 EN 내의 비일관성 문제이다. 즉, 일견, 1권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관조적 삶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을 뿐 아니라, EN의 처음부터 마지막 10권의 중반까지, 즉 EN의 대부분의 논의가 일종의 실천적 탁월함들에 대한 논의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면, 관조에 대한 논의는 10권 후반부의 세 장, 그중에서도 특히 7장과 8장에서만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포괄론자들은 어떻게 이러한 심각한 논의의- 그들이 생각하기에- 불균형과 비일관성을 근거로 우월론자들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관조에 초점을 맞추는- 을 비판한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일종의 대안적 우월론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 글에서 기존의 행복논의에 접근하는 방식과는 조금 다르게, 즉,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잘-삶의 주체를 서술하기 위해 종종 사용하는 ‘신성한 것(theion)’과 ‘지극히 복된 것(makarios)’ 등의 표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위의 포괄론과 우월론 간의 논쟁, 그리고 텍스트 비일관성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
    먼저, 필자는 ‘신성한(theion)’과 ‘지극히 복된(makarios)’이라는 표현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각각 신적 잘-삶과 고유한 활동과 인간의 관조적 삶 혹은 관조적 활동을 의미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 내용을 통해서 필자는 인간의 관조적 삶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왜 가장 최고의 좋음을 추구하는 삶이자, 가장 궁극적인 행복인지에 대한 근거를 도출할 것이다. 필자는, 그것은 곧 인간의 관조적 삶은 신의 고유한 활동이자 순수한 이성의 활동인 신적 관조에 가장 유사한 인간의 활동 - 인간의관조- 이 그 안에서 궁극적 목적으로 추구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필자는 이 논의를 통해서 텍스트 비일관성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도 제시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신적 잘-삶과 인간적잘-삶 그리고 신적 관조와 인간적 관조 간의 논의는비단 10권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1권에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때문이다. 물론, 10권의 이러한 논의들이 1권보다 구체적인 것은사실이지만, 여전히 1권에서도 신적 행복과 인간적 행복 사이의 관계를 주목하고, 10권의 논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간주 할 수 있는 논의들이 발견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정리하자면, 필자는, 이 글에서, 이러한 행복과 행복 주체들에대한 서술어로 사용되는 ‘신성한’과 ‘지극히 복된’이라는 표현들의쓰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최고의 삶은 곧 관조적 삶이라는 일종의 우월론적 입장을 관철할 수 있으며, 1권과 10권의 행복 논의 간의 일관성 및 연속성도 입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Aristotle, in his Nicomachean Ethics(EN) 1.7, provides the famous definition of the best form of human life: ‘it is the activity of the soul in accordance with the best(aristēn) and most ultimate(teleiotatēn) excellence’. However, what he means by the best and the most ultimate excellence in this statement is, for many years, very controversial amongst Aristotelian scholars. The so-called inclusive-end view claims that it is an inclusive set of excellences, so Aristotelian happiness is the life of which the most ultimate end is this excellence, that is, the excellence as a whole. On the other, those who supports the dominant-end view claims that Aristotelian happiness is a life in which the person aims at, most ultimately, the most dominant excellence, that is, contemplative excellence or philosophical excellence(sophia).
    And these two different positions disagree about another related issue, the so-called inconsistency/consistency issue between Aristotle’s accounts on eudaimonia in EN 1 and EN 10. Apparently, not only, in EN 1, Aristotle does not discuss the life of contemplation concretely, but also, from the beginning of EN to the middle of EN 10, namely, in most of EN, he deals with, mainly, moral/ practical excellences. However, contrastingly, about the contemplation(theōria), he does not mention very much until we finally come to the very last two chapters of EN(EN 10.7∼8). Therefore, the inclusive-end view criticizes the dominant view asking how they could support that the contemplative life is the best human life even with such imbalance and inconsistency.
    In this paper, I, not taking the typical way to approach this issue, namely, analysing Arisototle’s favourite two expressions, ‘divine/godlike(theion)’ and ‘blessed(makarios)’,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inclusive-dominative debate, as well as the text-inconsistency issue.
    First, I, through an examination on Aristotle’s usages of those two expressions, show that he use them to mean respectively the life(activity) of god and the most divine life/activity of human being. Further, as a result of my investigation on Aristotle’s usages of those two expressions, I draw a strong and fundamental reason why in Aristotle the life of ‘human’ contemplation is the best life human can lead. I conclude that it is because the life of human contemplation is the life whose most ultimate end is the human contemplation, the most godlike human activity, that is, amongst human activities, the most similar one to the god’s contemplation, the activity of pure reason.
    Also, I suggest a solution for the text-inconsistency issue between EN 1 and EN 10. I claim that Aristotle’s discussions on divine/godlike activity and happiness do not only occur in EN 10, but we can find them in EN 1 as well. Of course, it is true that such discussion is more clear and concrete in EN 10. However, I think, we can still say that Aristotle already pays atten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life of god and the happiness of human beings in EN 1, so we can surely find several significant passages where he prepares for the-on divinity- discussion in EN 10.
    In short, this paper, by virtue of the study and analysis regarding the usages of the ‘theion’ and the ‘makarios’, Aristotle’s favourites to express the ‘eudaimonia’ and ‘eudaimonōn’, argues that we can maintain an dominant interpretation that Aristotle’s best human life is the life of contemplation, and shows that there is no inconsistency between EN 1 and EN 10 about Aristotle’s account of happ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