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의 언어를 데이터로 읽는다는 것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Reading a Novel as Dat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02
33P 미리보기
소설의 언어를 데이터로 읽는다는 것 -‘한국현대문학데이터분석연구’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84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전성규

    초록

    이 글은 이인직 신소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방법을 탐색해 본 한 학기 강의 사례를 기반으로 문학 텍스트를 데이터로읽는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문학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내러티브라는 자질 때문에 비문학 텍스트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어’ 중심의 언어처리 방법이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문학 특히 소설 텍스트의 언어처리는 단어나 개념 단위가 아니라 적어도 절 이상의 수준, 문장과 문단 사이의 단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롤랑바르트가 『S/Z』에서 『사라진』을 561개의 독해단위(lexis)로 분절한 것처럼, 소설 텍스트를 의미단위로 분절하여 분석하는 것을 제안해 본다. 의미단위를 기준으로 한 분석은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과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으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다. 메타언어적 데이터 표현은 의미단위를 개념화하거나 특정한 분류체계 아래서 범주화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단순성, 추상적 표현에 기여한다. 하지만 의미의 연쇄과정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며 의미단위를 실제적인 분석 대상으로 간주할 방법이 필요하다. 그것이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방법이다. 텍스트의 의미단위는 텍스트를 독해하는 자가 결정한다. 추출된 의미단위는 그 의미를 구성하는 세부요소로 다시 절단된다. 이는 의미를 형성하는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이다. 의미단위의 관계망은 데이터 세트로 표현되는데 이 데이터 세트의 흐름은 소설의 플롯을 따라가는 것이지만 주제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설이 내포한 다른 서사의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의미 수행적인 데이터 표현은 바르트가 말한 것과 같이 텍스트를 독자 자신의 텍스트로 재생산하는 “쓰여지는(scriptible)” 텍스트가 된다. 텍스트를 분절하고 분절된 단위를 흩트려 관계망을 다시 짜보는 일은 텍스트를 비선형적으로 독해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텍스트는 총체성도 외부성도 상실한다. 이러한 텍스트의 이미지는 네트워크의 그것과 닮아있다. 네트워크는 들어가는 특정한 입구도 출구도 없으며 쪼개어진 단위들은 파편적 질서를 갖는다. 하지만 형식성, 봉쇄성, 군집성, 폐쇄성 또한 네트워크의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서사에 기반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띨 필요가 있다. 비선형성이 강한 네트워크는 시간성을 담는 것에는 소극적이지만 문학연구를 위해 서사성을 반영한 네트워크의 모델에 대한 논의가 요청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ry texts as data based on the case of a lecture at a semester that explored the research method of digital humanities using Lee In-jik’s “new novel (sinsoseol)” as a target of analysis. Because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ry texts have a narrative characteristic,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ame method being applied to non-literary texts to a literary text analysis. Linguistic processing of literature, especially the text of novel, needs to be made not in terms of words or concepts, but at least at the level of verses and between sentences and paragraphs.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analyze the novel text by segmenting it into semantic units, just as Roland Barthes segmented ‘Sarrasine’ into 561 reading comprehension units in S/Z. Analysis based on semantic units can be divided into metalinguistic data representation and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The former conceptualizes semantic units or categorizes them under a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 contributing to the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 of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chain process of meaning, so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plot of the novel and consider the semantic unit as an actual analysis object. That is a semantic performance-based data representation method. The semantic unit of the text is determined by the reader of the text. The extracted semantic unit is further cut into detailed elements that make up the meaning. It is a matter of reframing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that form meaning. Because the network of semantic units is expressed as a data set, and the flow of this data set follows the plot of the novel, it shows the different narrative aspects of the novel. Therefore, extracting the semantic unit is also a task that unfolds the researcher’s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hat sense, a semantic performance data representation is a “scriptable” text that Barthes spoke. Segmenting the text and restructuring the relational network by scattering the segmented units are a non-linear reading of the text. Here, the text loses both totality and externality. The image of these texts resembles that of the network. The network has no specific entrance or exit, and the divided units have a fragmented order. However, formality, blockade, clustering, and closure are als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networks. In addition, narrative-based networks have temporality. A network with strong nonlinearity is passive in containing temporality. but I suggest that a little more discussion on the model of the network that reflects the narrative is needed for literary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