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淨土敎의 종지는 불교의 근본사상과 공존이 가능한 것인가 (Can the principles of Pure Land Teaching and the fundamental ideology of Buddhism coexis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7
30P 미리보기
淨土敎의 종지는 불교의 근본사상과 공존이 가능한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8호 / 11 ~ 40페이지
    · 저자명 : 한명숙

    초록

    자력신앙은 자신을 구원의 주체로 삼고 진리에 대한 이해를 구원의 방법으로 삼는다. 타력신앙은 절대자를 구원의 주체로 삼고 절대자에 대한 믿음을 구원의 방법으로 삼는다. 초기불교는 자업자득의 원리에 의거한 자기구원의 원칙을 천명하고 구원의 방법으로 세계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제시하는 점에서 철저하게 자력신앙이다. 정토교는 아미타불이라는 구원의 주체를 설정하고 염불에 의거한 구원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타력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불교 내부에서 현실적으로 함께 유포되고 있는 두 가지 신앙형태가 사상적으로도 공존이 가능한 것인지를 논증하였다.
    먼저 두 신앙이 기반으로 삼는 사상을 비교할 때 발생하는 의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석가불 이외에 다른 붓다의 존재는 가능한가? 둘째, 깨달음을 얻고 열반에 든 붓다가 특정 국토를 건립하고 그곳에 머물러서 중생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은 가능한가? 셋째, 그 붓다가 머물고 있는 정토의 존재는 가능한가? 넷째, 염불은 자업자득의 원리와 상충하는가? 다섯째, 아미타불의 영원성은 연기·무상·공의 원리와 공존할 수 있는가? 여섯째, 불도수행의 궁극적 목적인 불생과 왕생은 모순되는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다각적 고찰을 통해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불교 문헌에서 “법은 영원하고 법을 보는 사람은 누구나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한 것에 의거하면 석가불 이외의 다른 붓다가 이미 존재하였고 또한 존재할 것이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 둘째, 초기불교 문헌에 나타난 석가불의 행적에서 대비는 깨달음을 얻은 이의 필연적 덕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신이 성불한다면 중생을 위한 국토를 세우고 그곳에 머물러 중생을 구제할 것이라는 서원을 세우고, 실제로 성불한 어떤 붓다를 상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셋째, 초기불교 문헌에서 인식주체와 인식대상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강조한 것에 의거하면, 인식주체의 인식의 층차에 따라 나타나는 무수히 많은 세계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다. 넷째, 염불 그 자체는 자업이고 업은 계량화할 수 없는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아미타불은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에 의해 정토를 건설하고 그곳에 머문다. 중생이 한량없기에 그 수명도 한량없다고 한 것일 뿐이니, 이것을 영원성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여섯째, 정토왕생의 가장 큰 의미는 불도를 성취하기 위한 최상의 조건을 획득한다는 것이다. 그곳에서도 불도를 성취하기 위한 수행은 계속되어야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왕생이란 불생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Self Power Faith makes itself the subject of relief, and realization of truth the relief method. The Other Power Faith makes the Absolute the subject of relief, and the belief in the Absolute the relief method.
    The Early Buddhism presents the principles of self-rescue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for the world nature[essence], and Pure Land Teaching presents the rescue principles by Amitabha Buddha on the basis of Yumbul(念佛). This article purports to examine whether these two heterogeneous kinds of faith, now spreading within Buddhism, can coexist ideologically.
    By raising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se two fundamental ideologies, the conclusion reached through the diversified study on this question is a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early Buddhism literature, Dharma(法) is everlasting and whoever see Dharma can get a awakening. Therefore, it is admitted that another Buddha other than Shakyamuni Buddha already existed or was able to exist.
    Second, Great compassion is an essential virtue of the enlightened people among the Buddha accomplishments shown in the early buddhism literature. If so, it's not impossible to assume a buddha who virtually entered Nirvana by building a country and a temple to rescue[save] people after entering Nirvana.
    Third, the early buddha literature emphasizes that the subject and object of recognition is inseparable.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recognition subject, there can exist innumerable worlds. Fourth, Yumbul(念佛) itself is Own Karma, and Karma cannot be measured.
    Fifth, Amitabha Buddha stays at Pure Land owing to vow trying to rescue people. As the number of people is not limited, it is suggested that the life span is unlimited. As long as unlimited(無量) doesn't mean permanence, it satisfies the principle of Pratītyasamutpāda. Sixth, the greatest meaning of Pure Land Rebirth is to create the best atmosphere necessary for achieving the Buddha Way. Then, rebirth(往生)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reaching the state of no-birth(不生).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