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겔의 주체: “부정적인 것에 머무르기”-지젝의 헤겔 해석을 중심으로- (Hegel’s Subject: “Tarrying with the Negativ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11
24P 미리보기
헤겔의 주체: “부정적인 것에 머무르기”-지젝의 헤겔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46호 / 259 ~ 282페이지
    · 저자명 : 성창기

    초록

    지젝의 주체 이론은 기존의 상징적 질서와 단절할 수 있는 주체의 역량을 강조한다. 이러한 주체는 공백, 배제, 결여, 상실, 분열, 찢어짐등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그의 글에 등장한다 할지라도, 이것들은사실상 기존의 지배 질서를 중단시킬 수 있는 주체의 역량을 의미한다. 지젝이 자신의 주체 이론에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사상가로는 헤겔을 들 수 있다. 그는 헤겔에 적대적인 오늘날의 이론적 흐름을거슬러 헤겔 철학을 되살려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옹호해왔으며, 이 점은주체 이론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하지만, 이는 기존의 일반적 헤겔 해석과 충돌하는 것이기에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지젝의 해석에 대해 많은 헤겔 해석자들이 가지는 불편함은 무엇보다 단절과 분열을 강조하는 그의 해석이 헤겔에 대한 기존의해석과 근본적으로 충돌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 있다.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고 화해와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헤겔의 평생의 목표가 아니었던가? 하지만 지젝에 따르면, 헤겔은 무엇보다 근원적 상실과 분열의 불가피성을 주장한 철학자이다. 상실된 것의 회복 불가능성이야말로 헤겔 사유의핵심이며, 근본적 상실을 인정하는 것이 헤겔이 말하는 ‘절대지’에 해당한다는 지젝의 주장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해석은 과연 분열의 극복, 통일과 화해의 회복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헤겔 자신의 주장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가?이 글은 지젝이 헤겔의 주체에 대한 자신의 해석의 가장 중요한 전거(典據)로 간주하는 『정신현상학』 「서문」의 “부정적인 것에 머무르기”와 관련된 구절들을 검토함으로써 상실의 불가피성과 관련된 지젝의 헤겔 해석이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헤겔의 주체가, 지젝이 주장하는 것처럼, 자신만의친숙한 세계에 나타나는 이질적이고 낯선 것, 즉 부정적인 것과 정면으로마주함으로써만 가능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절과 상실을강조하는 이러한 주체 해석이 헤겔이 주장하는 통일 및 화해와 충돌하는것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영어초록

    Zizek’s theory of subjectivity emphasizes the ability of the subject to break with the existing symbolic order. This subject, which is called void, exclusion, lack, loss, or division in his writings, means, after all,the power to cut oneself off from the existing dominant order. It is Hegel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kers supporting Zizek’s theory of subjectivity. Zizek has argued for Hegel’s philosophy,especially for his theory of subjectivity, against the theoretical tendency today, which has been antagonistic to Hegel’s ideas.
    His endeavor, however, has been much disputed, because it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common interpretation of Hegel’s philosophy. It was Hegel’s lifelong aim to overcome division and opposition and achieve unity and reconciliation. Nevertheless, according to Zizek,Hegel, above all, is the philosopher who argues for the inevitability of fundamental loss and division. How is his argument to be understood?Is his interpretation compatible with Hegel’s own argument that incessantly emphasizes the overcoming of division and the restoration of unity; and if this is the case, then how is it compatible?This article intends to elucidate how valid Zizek’s interpretation of Hegel regarding the inevitability of loss is, by taking the “Tarrying with the Negative” passages in the Preface of the Phenomenology of Spirit,which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erences to his interpretation of Hegel’s subjectivity, into consideration.
    My conclusion is that Hegel’s subject is, as Zizek interprets, only possible by confronting the other, or the negative within its own familiar world, and that such a claim highlighting the split and loss is compatible with Hegel’s unity and reconcil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