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 설화에 나타난 인간적인 것을 넘어선 애니미즘 연구 (A Study on Animism Beyond Humanity in Animal Folklo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06
32P 미리보기
동물 설화에 나타난 인간적인 것을 넘어선 애니미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65호 / 271 ~ 302페이지
    · 저자명 : 조현설

    초록

    유무익에 따른 동물의 분류와 구조화는 인간 지성의 산물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비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인류의 존속에 긴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므이꺼>의 천신 거쯔는 인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 동(식)물을 분류한 뒤 무익은 저주하고 유익은 축복했다. 땅을 개간하지 말라는 우무러와의 금기도 인류 지성의 산물이다. 금기를 언어화하여 전승하는 행위가 공동체의 지속에 유익하기 때문이다. 사슴이 ‘아이 셋을 낳을 때까지는 옷을 내어주지 말라’는 금기를 발부했던 것은 그것이 남성 중심의 가족구성체를 이룩하는 데 긴요한 조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터부를 통해 공동체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분류와 구조화를 통해 인간을 비인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인간의 지성이 임계점에 이르면 구조를 재구조화하고 금기를 위반하는 일도 인류의 존속을 위해 불가피한 일이다. 이 불가피함에 대한 상상력이 <므이꺼>의 막내나 <목도령과 대홍수>의 목도령, <선녀와 나무꾼>의 나무꾼으로 하여금 들을 수 없는 동물의 목소리를 듣게 하고, <원천강본풀이>의 오늘이를 온 우주와 소통하게 한다. 이것이 인간-비인간이 물질성에서는 다르나 내면성은 공유하고 있다고 보는, 다시 말해 비인간-인간을 모두 ‘사람’으로 여기는 애니미즘의 우주론이다.
    그런데 비인간-인간 사이에 소통이 이뤄지더라도 비인간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고 인간중심적으로 인식하면 애니미즘은 실종된다. <므이꺼>의 천신 거쯔의 목소리는 인간적이고, <목도령과 대홍수>의 목신의 경우도 다르지 않다. 동물의 언어를 알아듣는 민담의 주인공의 능력이 상호성을 잃고 인간의 발복을 향할 때 애니미즘은 미끄러진다. 주인공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있는 동물보은담의 동물은 인간의 시각으로 포획된 오이디푸스적 동물이다. 동물보은담이 은혜 갚은 개나 소와 같은 동물만 ‘사람보다 낫다’거나 ‘사람 같다’고 여기는 한 거기서 드러나는 것은 안티애니미즘의 우주론이다.
    금세기 인류의 공안은 비인간과의 공존이다. 비인간과의 불화에서 촉발된 작금의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인간-인간의 관계, 그 동일 지평에 있는 인류의 존속에 대해 심각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서구 발 근대 문명은 비인간 혹은 자연을 타자화했고, 타자의 목소리를 억압했다. 이 억압에의 욕망에서 초래된 기후위기, 그리고 바이러스의 창궐은 저 근대문명이 도구화한 타자들의 절규로 보인다. 저 비인간들의 절규에 화답하지 않는다면 홍수신화는 우리의 ‘오래된 미래’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ization of animals based on their benefits and uselessness are products of human intelligence. Doing so was essential to ensure the survival of humankind in relation to non-humans. Therefore, Getz, the heavenly god of Méigĕ, blessed benefits upon animals after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attitude toward humans. Bear being prohibited from reclaiming land is also a product of human intelligence, as keeping taboos alive benefits the continuation of the community. The deer mentioned a taboo saying, "Don't give out clothes until you have three children," because it w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achieving a male-dominant family structure.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humankind will go beyond structure and violate taboos when human intelligence reaches a critical point. The imagination of this inevitability allows us to hear the voices of animals that cannot be heard, such as the youngest of Méigĕ, the Mokdoryeong of the flood myth, and the woodcutter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and communicate with the entire universe, such as the Today of Woncheongang myth. This is the cosmology of animism that considers both humans and non-humans as persons.
    However, even if non-human–human communication occurs, animism disappears if the non-human is recognized as a person. The voice of Getz, the heavenly god of Méigĕ, is like that of a human, and the case of the Tree god of the flood myth is no different. Animism deteriorates when the protagonist's ability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animals is directed toward only human’s benefits. As long as the animals in the story of repaying animals are considered as "better than humans" or "like humans," what is expressed in the story is the cosmology of anti-animism.
    Human coexistence with non-human beings is a contentious topic in this century.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riggered by disharmony with non-humans,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is mutual relationship. Modern civilizations originating from Western Europe often otherize non-humans and suppress others’ voices. The climate crisis has been caused by this desire for oppression, and the recent outbreak of the virus seems to reflect the screams of others. If we do not respond with haste to the cries of these non-humans, the great flood myth could see us reliving our “ancient fu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