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깊은 것의 경계 - 설교의 명제적 기능의 재(再)이해 - (Boundary of the Deep: Preaching's Propositional Nature Revisite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2.02
37P 미리보기
깊은 것의 경계 - 설교의 명제적 기능의 재(再)이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30호 / 253 ~ 289페이지
    · 저자명 : 한재동

    초록

    본고는 하나의 가정된 현장 설교자의 관점에서 전통적 설교이론과 현대적 설교이론들 사이의 대립적 관계를, 현대적 비판과 전통적 주장 각각의 전제와 성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통해, 상보적으로 재정립해 보려는 노력의 산물이다(여기서 말하는 현대설교이론들이란 Henry Emerson Fosdick 이후 최근까지 계통적이라기보다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공존하는 모든 반전통적 설교이론들을 지칭한다). 그렇다고 전통적 설교이론과 현대적 설교이론들을 정합(종합?)적으로 통합하는 포괄적 이론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 설교와 현대적 이론들 사이에는 분명히 근본적 화해가 어려운 대립적 측면이 있다. 현대설교이론들은 20세기의 “언어적 전환”(the linguistic turn)이라는 사상적 환경에서 태어났으며 전통적 입장과 상존이 어려운 언어철학적 전제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전통적 설교이론과 현대적 설교이론들 사이에 어느 정도 연결고리를 확보하는 것이 실천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현장 설교자들에게는 수많은 설교이론들의 난립이 풍성함보다 오히려 혼란으로 다가올 수 있으며, 무엇보다 그 새로운 이론들이 수세기 동안 설교자들의 기반을 이뤄온 전통적 관점과 모순관계를 이룰 때 지적 활력보다 심적 갈등으로 압박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관점에서 이것이 진짜 문제인 것은 이 혼란과 갈등이 설교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고유직무에 관한 방향감각과 확신을 잃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를 이어주는 연결점으로서 설교의 명제적 기능을 재이해하려고 한다. 전통적 입장에 대한 대부분의 현대이론들의 반발이 전통적 설교의 명제성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본고의 입론은 설교의 기능은 기본적으로 명제적이며 설교의 명제적 형식은 버릴 수 있을지라도 그 명제적 성격 자체를 폐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현대설교이론들의 역사적 성격과 그 언어철학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이해한 후 전통적 입장의 비판적 타당성의 제시를 통해 양자 사이의 접촉점을 보여주고 이에 따른 실제적인 함의들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effort from an assumed viewpoint of the preacher in practice to establish a conn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preaching theory and the modern preaching theories, which apparently have had a mutual exclusive relationship, through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presuppositions and natures of modern critiques and the opposite traditional claim. (In this, the "modern preaching theories" means all sorts of anti-traditional homiletic positions, which have occurred without a necessary lineal connection since Henry Emerson Fosdick.) It does not mean that I can make a subsuming theory to reorganize the traditional theory and the modern ones into a coherent system. It is true that there are some undeniable mutual exclusive aspects between them beyond an easy reconciliation. The modern homiletic views rely on a language-philosophical assumption, born of the environment called "the linguistic turn," which is theoretically difficult to coexist with the traditional position. Nevertheless, this article's departure is a belief that we need to some extent to find a linkage point between the traditional theory and the modern theories because of practical reasons.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flooded homiletic theories, as such, may appear a confuse rather than an abundance to preachers in practice. Worse still, when the new theories just contradict with the traditional view,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the preachers' secure foundation for centuries, the choice between the theories will work as a psychological pressure rather than an intellectual stimulus. For the author, its more serious resultant aspect is that the said confuse or dilemma may leave preachers without the sense of direction, depriving them of the conviction about the preaching ministry itself. In view of such practical situation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homiletic propositional function as a linkage point to connect the traditional to the modern. It is because the focus of the critiques of most modern theories against the traditional theory is brought into the propos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latter.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basic function of preaching is propositional; you may abandon the propositional form, but not the propositional nature. For this, the author critically understands the historical character and langage-philosophical assumptions of the modern homiletic theories, on the one hand, and argues for the validity of the traditional position, on the other, with a view to show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m, and then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new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