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물기호학으로 조망하는 종교적인 것(the religious)의 가능성 -공생하는 해석자들의 공동체로서 종교적인 것- (A Possibility of the Religious from a Biosemiotic Perspective: The Religious as the Community of Interpreters for the Living-Togeth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생물기호학으로 조망하는 종교적인 것(the religious)의 가능성 -공생하는 해석자들의 공동체로서 종교적인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80권 / 2호 / 245 ~ 278페이지
    · 저자명 : 박일준

    초록

    본 논문은 종교를 종교적인 것의 문화적 번역으로 간주하고, 생물기호학의 관점에서 공생하는 해석자들의 공동체로 설명하려는 시도이다. 경쟁이치열하게 격화되고, 사회적 계층 간의 격차가 역사상 유례없을 만큼 벌어지고 있는 포스트휴먼 자본주의 시대에 종교는 생물학의 진화이론에 의해‘어제의 세계’에서 집단 간 경쟁을 이겨내기 위한 협동의 시스템으로 서술되고 있다. 다시 말해 공생의 협동이 경쟁을 위한 시스템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오랜 세대동안 상호작용하는 개체들은 호혜적 이타주의 모델에서 공생의 모델로 삶의 모습을 전환한다. 각자의 이익을 도모하는‘주고-받는’ 관계로부터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관계의 모습으로 진화한다.
    생물의 세계는 기생관계, 상리공생, 내부공생 등의 모습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의 모습을 보이며, 이때 공생하는 생물들은 개체가 아니라 집단체의 모습을 보인다. 그렇다면 집단 간 경쟁에 기반하여 협동을 촉진하는문화기제로서 종교에 대한 해석은 분명 중요한 무언가를 빠뜨리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독교의 담론은 시대에 비존재로 밀려난 존재들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한 형제 한 자매로 품는 공생의 대안을 설파해 왔다. 포스트휴먼 시대의 종교성은 부적합자로 내몰리는 존재들과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계로부터 일자리에서 밀려나는 부적합한 존재들을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할 존재로 회복시킬 ‘해방하는 희망’의 담론을 담지해야 할 것이다. 평등개념은 바로 생물기호현상의 해석체들로부터 ‘종교적인 것’을 해석해낸 종교 개념한 예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see religion as the cultural translation of the religious and to elucidate religion as a community of interpreters living together from the perspective of biosemiotics. As one has to ferociously compete others to win the game of survival and, as the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has ever so unprecedently widened in this posthuman capitalist society, religion has been described as an organic system of cooperation to win the group selection in the world of yesterday. That is, symbiotic cooperation has described as a part of the system of competion. However, in a situation, in which individuals will have to interact each other in a very long-term period or generations, a model of reciprocal mutualism turns into that of co-life or living together. The world of living beings shows the variety of relations such as parasitic relation, reciprocal mutualism, endosymbiosis, commensalism and so on, and they act not as individuals but as the entangled collective. Then, the evolutionary interpretations of religion as a cultural mechanism to promote cooperation based upon competition between groups seem to miss something very important. For example, Christianity has proclaimed its alternative discourse, in which the inexistents in the contemporary age is included as the same brothers and sisters who were equally created with the image of God. In this context, any religiosity in the coming posthuman age should proclaim an emancipating hope for human beings marked as the inappropriates and as marginalized by A.I. and digital machines from their work places to be restored as equal partners for the symbiotic world. The concept of equality is the religions’ interpretation of the religious from the interpretants of biosemio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