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The Eastern, The Choseon, and Munjang(文章))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04
34P 미리보기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1호 / 351 ~ 384페이지
    · 저자명 : 차승기

    초록

    이 글은 식민지/제국 말기 ‘근대=서양’ 비판의 헤게모니 담론으로 ‘동양론’이 생산되던 시기 ‘동양적인 것’의 권리 주장이 식민지 조선의 문학적 영역에서 이해되고 재생산되던 맥락을 고찰하고자 했다. 흔히 전통주의적 지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되는 잡지 『문장』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적인 것의 긍정적 정립이 시도될 때 그것이 동양적인 것과 어떤 역학관계에 놓이게 되는지를 주로 살펴보았다.
    『문장』은 1930년대 중반 조선주의 문화운동의 흐름을 이어받으며 등장했지만, 총력전의 사상, 반근대적 전통주의, 모더니즘의 유산이 모호하게 결합된 형세를 보여준다. 흔히 『문장』은 이른바 반근대적 전통주의의 경향으로 설명되지만, 사실 『문장』의 그러한 경향은 『문장』 내부에서 작용하는 총력전의 사상과 모더니즘의 유산이라는 서로 다른 힘의 방향이 충돌하고 중첩되면서 형성된 일종의 힘의 교집합 속에서 생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속에서 ‘동양적인 것’과 ‘조선적인 것’이 모호한 관계를 맺게 된다.
    『문장』에는 헤게모니 담론으로서 주어진 동양문화가 전제한 ‘서양/동양’ 이분법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또한 그 동양문화 속에 조선적인 것이 포함될 수 있는지를 의심스럽게 물으며 ‘조선적인 것’의 잔여성을 지시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김동리의 경우 민속․예술․전설 등을 매개로 “생명의 구경 의의意義”를 탐색하는 문학을 통해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의 실체론적 구별을 무화시키며 ‘토착적 고유성’의 방향을 예시해준다. 그를 통해 총력전의 사상으로서의 ‘동양론’과도, 조선적인 것에 대한 본질주의적 개념화와도 구별되는 『문장』의 특이성이 드러난다.
    그러나 헤게모니 담론으로서의 ‘동양론’은 물론, 패배당한 것들을 창작의 원리와 결합시키고자 했던 시도도 그것이 ‘복수’의 성격을 띠면서 ‘패배의 기억’을 지워버리는 경향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contexts in which the Eastern, as hegemonic discourse for the critique of ‘the Modern=the West’, has been understood and reproduced in literary field of colonial Choseon朝鮮. By examining Munjang文章 which is apt to be appreciated its traditional inclination, I inquired into the dynamics between the Eastern and the Choseon in their positive founding respectively.
    Munjang appeared in the wake of the Choseonism朝鮮主義 movement, but it shows a certain obscure configuration which consisted of the thought of total war, anti-modern traditionalism, and heritage of modernism. It used to be explained that Munjang had a strong tendency of ant-modern traditionalsim, but such a tendency was formed in the intersection of forces which had quit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thought of total war and heritage of modernism.
    In Munjang, there were not only voices which criticized the dichotomy of ‘the West/the East’ assumed in the hegemonic discourses, but also perspectives which looked the remnantness of ‘the Choseon’ as the non-reductiveness. Especially, Dong-ri Kim金東里 tried actualizing the ‘native property’ in abolishing the substantialist distinction between the Choseon and the Eastern, and in creating the works which explore the ‘the ultimate sense of the life’ mediated by folklore, art, legend etc.. He reveals the specificity of Munjang that is distinguished not only from ‘the Eastern’ as the thought of total war, but also from the essentialist conceptualization of ‘the Choseon’.
    But these attempts, which tried to combine ‘the defeated’ with the principle of creation, had a tendency to eliminate the ‘memory of defeat’ in the form of ‘vengeance’, not to speak of the hegemonic discourse of ‘the Easte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