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주 상림리 유적으로 본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교류와 전개 - 東周式劍의 매납과 청동기 장인의 이주를 중심으로 (Re - examination of the Bronze daggers from Sangrim - ri, Wanju, and the Bronze dagger cultures of northeast Asia during the first millenium BC.)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6.10
22P 미리보기
완주 상림리 유적으로 본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교류와 전개 - 東周式劍의 매납과 청동기 장인의 이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4권 / 4 ~ 25페이지
    · 저자명 : 강인욱

    초록

    상림리 유적은 동아시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중국 동주식검이 대량으로 매납된 유적으로 동검을 통한 세 형동검 시기 동북아 일대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하지만 그 의의에 대해서는 ‘도씨검’이라는 애매한 명칭의 사용과 함께 원론적인 논의만 진행되었을 뿐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원전 1천년기 동아시아 동검문화의 확산과 소멸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상림리 유적을 재해석하였다. 먼저 상림리 동검의 관찰결과 실용적인 의미 는 거의 없는 의례용이며 주조 직후 곧바로 매납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아시아 일대 청동장인 관련 유적과 마 찬가지로 청동기 장인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 보았다. 상림리 매납유구는 중국(아마 산동지역)에서 장인이 한반도 서남지역을 이동해서 지역사회에 동화되었고, 청동검의 주조와 관련한 의례를 하고 남긴 결과이다. 이러한 청동기 매납현상은 기원전 1천년기에 동아시아 일대에서 널리 보이는 것으로 장인들은 자신만의 제작기법에 대한 노하우 를 유지하며 제사와 매납행위를 통하여 자신들의 청동기 주조를 신성시하고 사회적인 위치한 것에 따른 결과이다 .
    상림리의 주 연대는 전국시대 동검의 수요가 급감한 이후이며 평양 석암리 출토의 동주식검보다 이른 시대이기 때문에 기원전 4세기 말~3세기 초반으로 편년된다. 이 시기에 중국 동주식 동검의 장인이 한반도로 이주할 수 있 었던 배경에는 중국 내부의 전국시대 말기에서 진대에 이르면서 중국 내에서 동검의 수요가 급감하고 철검으로 대 체되는 때와 일치한다. 또한, 동검 장인들의 사회 변동에 따른 이주행태는 오월지역의 동검 장인에 대한 역사기록 을 통하여 유추하였다. 또한,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는 점은 전통적으로 황해를 둘러싸고 한국과 중국 의 교류가 빈번했기 때문에 중원식 동검이 유입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bronze daggers discovered from Sangrim-ri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the contexts of ancient bronze metallurgy and development of bronze culture across northeast Asia during the first millenium BC. Most importantly, the author notes that the Sangrim-ri daggers bear no evidence of practical uses. These artifacts were presumably manufactured for rituals and interred immediately after they were made. This suggests the presence of bronze craftsmen near Sangrim-ri in Wanju. The period of the late 4th to the early 3rd century BC is the time when the demand for bronze daggers decreased in China. The manufacturers of the Sangrim-ri daggers presumably migrated from China around this time period.
    The so-called Chinese style daggers are rarely found in Korea and the current findings are distributed only in the southwestern region, while the nomad style bronze goods were much more popular across the southeastern region. The rather restricted distribution of the Chinese style daggers reflects the reduced demand for these items, which was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ry and the influx of diverse prestige goods such as Chinese swords, bronze mirrors, lacquer wares, and garments. The presence of diverse items that could be used as prestige goods possibly led to a reduced demand for bronze dagg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