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 이해도 조사 (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of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9
8P 미리보기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 이해도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17권 / 3호 / 168 ~ 175페이지
    · 저자명 : 오임정, 최효윤, 강서영, 이정아, 김영식

    초록

    연구배경: 심혈관계 질환 관련 사망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의 약 1/4 정도를 차지하고, 건강수명 연장을 위해 만성질환의 관리는 중요하다. 건강검진을 통해 만성 질환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이 가능하며, 수검자들의 생활습관 개선 및건강상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현행 국가건강검진에서는 검진을 시행한 후 사후관리에 해당하는 검진 결과의 단순 통보, 검진 후 결과에 대한 불충분한 설명과 상담 그리고 지속적인 관리의 부재 등이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현행 국가건강검진 중 일반건강검진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결과지에 대한 수검자의 이해도를 조사하여 이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일반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시행받은경험이 있는 수검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7일부터1월 2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성별, 시행받은 건강검진의 종류, 시행기관, 시행 횟수, 시행받은 이유, 결과지의 검진항목별 이해도, 건강검진 후 생활습관 개선의 필요성을 느꼈는지 여부, 분야별 상담 및 결과가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령, 성별, 검진기관, 검진 경험에 따라 일반건강검진 결과지의 이해도가 달라지는지 여부에 대해 알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된 연령과 검진기관을 보정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일반건강검진 결과 중 수검자의 이해도가 가장 떨어지는 분야는 혈액검사 항목이었으며, 연령, 검진기관을보정하였을 때 40대에 비해 60대의 결과지 이해도가 소변검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검진전문기관에서 검사를 받은 수검자의 결과지일부 항목에 대한 이해도가 개인의원 및 종합병원보다 낮았다(P<0.05).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의 결과지 이해도에서는 경도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항목과 낙상 및 배뇨장애 항목에서의 수검자의 이해도가 85%로 가장 낮았다.
    결론:60대 이상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건강검진 결과지 개선이 필요하다. 수검자들의 일반건강검진결과지에 대한 이해도가 검진전문기관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어 검진전문기관의 질 개선을 통한 지속적인 검진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Cardiovascular diseases related mortality attributes to approximately one fourth of mortality in Korea,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rough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early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are made possible, and this will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examinees. In the current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HE), counseling and continuous management after NHE have not been properly made. We aimed to investigate 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of NHE in order to find the ways of improvement.
    Methods:We recruited 120 examinees, who have undergone general health examination and life turning point health examination (LTPHE), and conducted survey from January 7, 2016 to January 26, 2016.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creening related factors, an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NHE. Answers were converted to Likert scale, and student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for the analyses.
    Results: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was lowest in the blood test category. When age and type of institution were adjusted, the examinees in their 60s had significantly lower knowledge of all the categories of result forms except urine test in comparison to the younger examinees. When type of institutions were compared, examinees, who had undergone NHE in health screening clinics, had significantly lower knowledge of several categories of result forms in comparison to those who had undergone NHE in private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Examinees’ knowledge of the LTPHE result form was lowest in categorie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nd “fall down and voiding difficulty.” Conclusions:The result form of NHE should be revised so that examinees in old age can easily understand.
    Examinees’ knowledge of the result form was lower in health screening clinic; thus, quality of health screening clinic should be improved for continuous care after NH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