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델링(Modeling) 모던걸(Moderngirl) - 사전, 공개장, 그리고 언파레드, 식민지기 신여성에 대한 백래시의 작동방식 (Modeling Moderngirl - Dictionary, Open Letter, and On Parade, the Mechanism of Backlash about Moderngirl in Colonial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모델링(Modeling) 모던걸(Moderngirl) - 사전, 공개장, 그리고 언파레드, 식민지기 신여성에 대한 백래시의 작동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0권 / 3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양선

    초록

    이 글은 식민지 시기 잡지 미디어와 이 미디어 장을 점유한 남성-지식인-문사들이 ‘신여성’에 대한 담론을 어떻게 생산, 유포, 재생산했는지, 그 확장성의 메커니즘을 페미니즘에 대한 반격이라 일컬어지는 ‘백래시’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한 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에서 신여성을 자신의 의도에 맞게 정의하거나 재현하는 것을 ‘모델링(modeling)’이라고 명명할 것이다. 신여성에 대한 모델링의 유형은 첫째, 개념 어 사전과 논설, 둘째 공개장, 셋째, 전시(언파레드)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 1920년대 중반 무렵 유행한 ‘모던신어사전’과 <신여성>과 <별건곤>의 논설에 서 ‘신여성’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설명불요’, 즉 설명이 필요 없다거나 ‘∼이 아닌것은 아닐 것이다.’와 같은 부정의 부정형 표현을 통해 신여성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는 수사학을 의도적으로 구사했다. 이는 신여성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해 확정적으로, 본격적으로 다루지는 않겠다는 당대 미디어의 태도를 반영한다. 둘째, 지식인 여성의 대표 표상인 여성작가에 대한 백래시 담론은 김기진의 김명 순에 대한 공개장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김기진은 김명순의 문학적 특징을 ‘분냄 새’나는 퇴폐적인 외모와 유전적 기질로 부정적으로 의미화하고 있다. 김명순에 대한 소문의 유포와 확산, 재구성은 공개장→정탐기→소문기사→소설 「김연실전」 순으로 20년대부터 4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여성작가와 문학이 남성 중심의 지식 장에 들어오는 것에 대한 불안과 경계는 이처럼 공적 담론의 장에서 신 여성 지식인을 체계적으로 배제하고 축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신여성을 ‘공공연한 전시물’로 다루는 글쓰기 양식으로 ‘언파레드’가 있다. 쌍S의 「언파레드(전람회): 신부후보자전람회」는 ‘신여성’이 전람회의 상품이고, 저자는 이 상품을 해설하는 존재, 독자는 이 상품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존재였음을 보여준다. 신붓감인 신여성에 대한 담화 패턴은 나이와 집안, 재산과 학력과 같은 정보를 차례로 제공한 후 외모나 성격적 결함을 지적한다. 글의 마지막에서는 해당 신붓감 신여성이 지식과 교양이 없는 존재, 위선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결혼할 수 없다고 논평한다. 언파레 드는 신여성을 익명인 ‘모 양’으로 호명하여 발화자의 책임소재를 흐리고, 대중의 취향에 맞춰진 볼거리로 전시했다는 점에서 미디어 백래시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식민지 시기 공적 영역, 문학과 교육 등 지식 장에 진출한 신여성에 대한 남성(성) 의 불안은 신여성을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 지식과 지성이 결여된 여성, 히스테리컬 한 여성으로 정의하고 재현하는 모델링 전략으로 나타났다. 잡지 미디어의 반페미니즘 트렌드는 신여성의 지식과 문학 자본을 인정하지 않고, 이들을 엿보기나 전시의 대상으로 취급하였다. 결론적으로 신여성에 대한 모델링은 백래시의 계보를 작성할 때 그 출발지점을 밝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how the colonial magazine media and the male-in- tellects-writers who occupied the media produced, distributed, and reproduced the dis- course on “new women” in terms of a “backlash” called a counterattack against feminism. In this article, defining or reproducing a new woman according to male’s intention in the media would be called ‘modeling’. The types of modeling about new women are divided into three. First, conceptual vocabulary dictionaries and editorials, second, open letter, and third, exhibitions (on-parade). The texts are “New Woman” and “Byeol-geon-gon.” First, the dictionary definitions of “new woman” in “Modern New Word Dictionary” and “New Woman” and “Byeol-geon-gon,” which were popular around the mid-1920s, were “unexplainable,” or a double negative expression such as “It's not that it's not”. That is, intentionally used rhetoric that reserved judgment on new women was used. It reflects the attitude of those medias that they will not deal with moderngirl in a definite and full-fledged manner in a situation where the existence of new women cannot be ignored.
    Second, the discourse of backlash against female writers, the representative of intellectual women, is clearly revealed in Kim Ki-jin's open letter to Kim Myung-soon. Kim Ki-jin neg- atively announced Kim Myung-soon's literary characteristics with her decadent appearance and genetic disposition. The spread, and reconstruction of rumors about Kim Myung-soon continued from the 20s to the early 40s in the order of open letter->spying article->rumor article-> novel <Kim Yeonsil’s Life story>. The anxiety and vigilance about female writers and literature entering the male-centered knowledge field were systematically excluded and ousted from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Third, there is “On-parade” as a writing style that treats new women as “openexhibitions.” SS's “On-parade (Exhibition): Bride Candidate Exhibition” shows that “modern girl” was the product of the exhibition, the author explained this product, and the reader appreciated and evaluated the product. The discourse pattern on the bride=modern girl is as follows. ; informs such as age, family, proper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urn, and then points out appearance or personality defects. At the end of the article, it is com- mented that the bridegroom=moderngirl cannot be married because she is a hypocritical being without knowledge and culture. On-parade can be seen as a type of media backlash in that it calls the moderngirl an anonymous being to obscure the speaker's responsibility and displays her as a spectacle.
    Men's anxiety about new women who entered the knowledge field such as literature, and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found to be a modeling strategy to define and re- produce them as sexually promiscuous, lacking knowledge and intelligence, and hysterical women. The anti-feminism trend of media did not recognize the knowledge and literacy of modern girl, and treated them as objects of peeking or exhibition. Modeling of modern girl would be the starting point when writing the genealogy of backlas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