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평양 출신 여성화가 함인숙의 遺作 - 최미리 기증 2건의 6폭병풍을 중심으로 - (Posthumous Works by the Modern Female Painter Ham In-suk from Pyongyang: Focusing on the Two Six-panel Folding Screens in the Choi Mi-Le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06
19P 미리보기
근대 평양 출신 여성화가 함인숙의 遺作 - 최미리 기증 2건의 6폭병풍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중앙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미술자료 / 95호 / 247 ~ 265페이지
    · 저자명 : 이수경

    초록

    2018년 1월 덕성여자대학교 崔美利 교수가 한국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미공개서화 병풍 17건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이 병풍들은 최교수의 시어머니 고 宋今璇과 부군 고朴元國 이사장이 수집하였으나 수집 시기와 연유를 알 수 없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이 병풍 중 한국 근대기 주요 화가인 楊基薰(1843~1911), 金應元(1855~1921), 金圭鎭(1868~1933), 尹永基(1833~1927 이후), 咸仁淑(?~1921 이후), 兪鎭贊(1866~1947) 등의 그림들로 이루어진 6폭병풍 2건을 소개하고자 한다. 두 병풍을 이루는 12점의 그림들은 재질과 크기가 거의 비슷하며 병풍 장황은 20세기 전반기 방식을 따르고 있다. 첫 번째 <山水花卉翎毛圖 6폭병풍>(소장품 번호 증9362)은 제1폭 維谷필 산수도, 제2폭 윤영기필 석란도, 제3폭 양기훈필파초도, 제4폭 함인숙필 풍죽도, 제5폭 井厓釣客甕筆 노안도, 제6폭 유진찬필 묵매도로 구성되어있다. 두 번째 <花卉翎毛圖 6폭병풍>(소장품 번호 증9363)은 제1폭과 제3폭에 김규진필 풍죽도, 제2폭에 김응원필 묵란도, 제4폭에 양기훈필 노해도, 제5폭에 함인숙필 노안도, 제6폭에 유진찬필묵매도가 있다. 두 병풍에는 평양 출신 화가 양기훈, 평양 출신 기생화가 함인숙, 관료 출신문인화가 유진찬의 그림이 모두 있으며, 마지막 폭에 유진찬의 묵매도가 배치된 점이 공통적이다.
    이 병풍들은 산수, 난초, 대나무, 괴석, 기러기 등 다양한 화목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9세기 말부터 장승업, 양기훈 등의 화가들이 雜畫屛을 제작하는 유행을 반영한다고 볼 수있다. 한 명의 화가가 다른 화목의 그림을 그리는, 일반적인 잡화병과는 달리 이 두 병풍은 각기다른 화가들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견 合作圖로 제작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화가의활동시기와 그림의 제작 시기가 다르므로 특정 의도가 있는 합작도는 아니다. 그러나 윤영기, 양기훈, 김규진, 함인숙은 모두 평양 출신이며, 윤영기와 함인숙, 김규진과 함인숙은 스승과 제자관계라는 점에서 화가들 간의 친분 관계에 주목하게 된다. 또한 일본인으로 추정되는 井厓釣客甕이함인숙을 만나 노안도를 선호하는 인연을 기념하고자 그린 노안도가 두 번째 병풍에 있어서 화가들간의 관련성이 그림을 모으고 병풍으로 제작한 동기가 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근대회화사 연구에서 이 두 병풍이 지니는 의의는 무엇보다도 1910년대 언론의 주목을받은 미모의 기생화가로 소량의 노안도, 묵란도, 묵죽도를 남긴 함인숙의 가족 및 사승 관계를알려준다는 점이다. 첫 번째 병풍의 윤영기필 묵란도 제발문에서 그녀의 부친이 평양의 노시인 춘재함일섭이며, 그녀가 윤영기에게서 대원군 화풍의 난초를 익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윤영기는평양에 서화교육기관인 기성서화회를 설립하고 기생 화가를 가르쳤는데, 함인숙도 그의 가르침을받았다. 그녀는 1916년부터 서울로 가서 해강서화연구회에서 김규진으로부터 그림을 배웠는데, 그녀와 김규진의 사승관계를 첫 번째 병풍의 함인숙필 풍죽도와 두 번째 병풍의 김규진필 풍죽도의유사성에서 간취할 수 있다. 또한 그녀는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와 가정박람회에서 ‘노안도’로명성을 얻었는데, 두 번째 병풍에 있는 그녀의 노안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상단에 있는기러기는 머리를 땅으로 향하는 수직으로 내려오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다른 노안도에서는찾아볼 수 없는 과감한 모습이고 먹을 다루는 능숙함이 매우 탁월하다. 또한 井厓釣客甕의 노안도 제발문에서 명월관에서 함인숙을 만났음을 밝히고 있어 당시 명월관에서 이루어진 기생 화가에대한 그림 주문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병풍은 1894년 갑오개혁으로 도화서가 폐지되면서 양기훈과 같이 평양에서활동하던 화가들이 서울에서 활동하게 되고, 도화서를 대체하는 교육기관이 평양에서도 설립되어교육받은 여성 화가들이 서울로 진출하고, 1908년 관기 제도가 폐지되면서 기생의 활동이대중화되는 등 근대기 서화계 변화 양상을 반영한다는 데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January 2018, Professor Choi Mi-Le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don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venteen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 and calligraphy dated to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They had never before been publicly displayed. According to Choi, these folding screens had been collected by her mother-in-law, the late Song Geum-seon, and Choi’s late husband Park Won Kuk, who was the Chairman of the board of the Duksung Women’s University Foundation. However, when and how they were collected remain unknown.
    Among these seventeen folding screens, this paper introduces two six-panel folding screens with images by prominent artists from the modern era, including Yang Gi-hun (1843~1911), Kim Eungwon (1855~1921), Kim Gyu-jin (1868~1933), Yun Yeong-gi (1833~after 1927), Ham In-suk (?~after 1921), and Yu Jin-chan (1866~1947). The twelve paintings on the two folding screens are similar in terms of materials and size and are mounted in an early twentieth-century style. One of the two examples, the Six-panel Folding Screen with Paintings of a Landscape, Flowers, Plants, Birds, and Animals (Accession number: Jng 9362) consists of a landscape by Yu Gok on the first panel, rocks and orchids by Yun Yeong-gi on the second, plantains by Yang Gi-hun on the third, bamboo in the wind by Ham In-suk on the fourth, geese and reeds by 井厓釣客甕on the fifth, and ink plum blossoms by Yu Jin-chan on the sixth. The other item, the Six-panel Folding Screen with a Painting of Flowers, Plants, Birds, and Animals (Accession number: Jng 9363) includes bamboo in the wind by Kim Gyujin on the first and third panels, ink orchids by Kim Eung-won on the second, crabs and reeds by Yang Gi-hun on the fourth, geese and reeds by Ham In-suk on the fifth, and ink plum blossoms by Yu Jin-chan on the sixth. Both folding screens feature paintings by Yang Gi-hun from Pyongyang, the gisaeng (female entertainer) Ham In-suk from Pyongyang, and the literati painter and bureaucrat YuJin-chan. An ink painting of plum blossoms by Yu Jin-chan is found in the sixth panel of both folding screens.
    These folding screens depict diverse subject matter, such as landscapes, orchids, bamboo, oddly-shaped rocks, and geese. This reflects the trend of producing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s on miscellaneous topics initiated by Jang Seung-eop and Yang Gi-hu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owever, unlike those screens that feature a single painter’s takes on various subject matters, the two folding screens donated by Choi include paintings by different painters. Some scholars suggest that they may have been produced as collaborative works. Since the periods of the painters’ artistic activities and the production dates of their paintings differ, however, these screens could not be the results of specific collaborations. Even s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inters are worthy of note, as Yun Yeong-gi, Yang Gi-hun, Kim Gyu-jin, and Ham In-suk were all from Pyeongyang, and Yun Yeong-gi and Ham In-suk were master and student, as were Kim Gyu-jin and Ham In-suk. Moreover, considering that 井厓釣客甕, who is thought to be a Japanese, created the painting of geese and reeds in the second folding screen to commemorate his meeting with Ham In-suk and to celebrate their shared interest in painting geese and reeds, close ties among the painters might have led to the collection of these paintings and their mounting on the screens.
    These two folding screens are significant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ainting since they reveal certain of the family and educational connections of the beautiful gisaeng painter Ham In-suk, who was the subject of considerable media attention in the 1910s and is believed to have produced only a few paintings of geese and reeds, orchids, and bamboo. According to the colophon in Yun Yeong-gi’s ink orchid painting in the first screen, Ham’s father was Ham Il-seop (sobriquet: Chunjae), an elderly poet from Pyeongyang, and she learned to paint orchids in the style of Heungseon Daewongun from Yun Yeong-gi. Yun established an educational institution known as the Giseong Calligraphy and Painting Association (Giseong Seohwahoe) to teach calligraphy and painting to female entertainers in Pyeongyang. Ham In-suk was one of Yun’s students. From 1916, Ham studied painting under Kim Gyu-jin at the Haegang Society for the Study of Calligraphy and Painting (Haegang Seohwa Yeonguhoe) in Seoul.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etween Kim Gyu-jin and Ham In-suk can be inferred from the similarity between the painting of bamboo in the wind by Ham in the first screen and that by Kim in the second. She became famous for her geese and reeds painting presented at th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Joseon Mulsan Gongjinhoe) and Home Exposition (Gajeong Bangnamhoe) in 1915, as reflected in her painting of geese and reeds in the second folding screen. The geese in the upper section of Ham’s painting are depicted descending vertically with their heads pointed towards the ground. Such a bold expression is unique among paintings of geese and reeds. Ham was also well-versed in the use of ink. According to the colophon on the painting of geese and reeds by 井厓釣客甕, he met Ham In-suk at the Myeongwolgwan Restaurant, which indicates the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commissioned gisaeng painters to produce paintings at Myeongwolgwan.
    These two folding screens therefore hold great significance as they embody the shifts in the field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during the modern era, including the emergence of Pyeongyang artists such as Yang Gi-hun in Seoul with the abolishment of Dohwaseo (Royal Bureau of Painting) during the Gabo Reform of 1894, the advancement into Seoul of female artists who studied a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yeongyang, and the expanded boundaries for gisaeng with the abolishment of the official female entertainer system in 1908.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자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