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대 개신교인의 독립운동 참여와 순교자 추서 현상에 대한 소고 –105인사건, 3.1운동, 신사참배반대 운동을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n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t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and the Phenomenon of Martyr-Designation/Making: Focused on the Korean C)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일제시대 개신교인의 독립운동 참여와 순교자 추서 현상에 대한 소고 –105인사건, 3.1운동, 신사참배반대 운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9권 / 2호 / 187 ~ 215페이지
    · 저자명 : 최상도

    초록

    이 글은 일제시대 발생한 한국개신교인들의 죽음에 대해 한국개신교의 순교자 추서 현상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순교자 추서는 과거 죽음의 사건을 두고 현재 그 죽음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살아 있는 자들의 몫이고, 그들의 사회 정치적 행위의 과정이며 결과이다. 산자의 현재적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 따른 해석으로 과거 죽음을 순교로 지명하는 과정이 순교자를 배출되게 한다. 이런 점에서 순교는 죽음의 정치이자 곧 산자의 정치이다. 순교가 호명의 사회 정치적 행위에 의해 인정되고 합법화되기 때문에 순교자 추서는 죽음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와 그에 대한 역사해석에 근거한다. 순교자 추서의 이러한 질서와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으로 일제시대 개신교인들의 적극적 독립운동 참여로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105인 사건, 3.1운동, 그리고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중심으로 개신교인들의 죽음의 사건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 죽음의 사건에 대한 개신교의 인식과 평가 즉 죽음 사건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일제시대 개신교인들의 독립운동 참여는 신앙운동의 차원에서 이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일제의 박해는 당시의 선교사들과 후대의 역사가로부터 종교박해로 분명히 인식되었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한국개신교는 이들에 대한 순교자 추서를 적극적 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즉 죽음사건에 대한 해석과 순교자 호명의 사회적 행위 사이 균열과 모순을 드러내고 말았다. 이는 일제시대에 발생한 한국개신교의 죽음 사건과 이에 대한 해석 그리고 순교자 호명이 해방 후 남한사회의 반공주의 체제 로의 전환과 일제시대 친일행적에 대한 미해결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aimed to criticize on the martyr-designation/making process of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PCK) for the Protestant Christians’ deat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Martyr-designation/making is precisely carried out by the living in the present who are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death-event of the past and consequently a result of the process of their socio-political act of martyr-making. A martyr is made by the process of naming a death as martyrdom in accordance with the living’s interpretation under their current Sitz im Leben. In this aspect, martyrdom deeply pertains to the politics of death, yet at the same time to the politics of the living. Because martyrdom is approved and legitimized by the socio-political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as martyrdom, martyr-designation should be based on the ground of close investigation of death-event and historical interpretation on it. Bearing in mind this order and figure of making martyrdom, this paper has investigated first concretely the Protestant Christians’ death-ev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especially of the Korean Conspiracy Trial in 1911-1913,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and Shinto-Shrine Controversy in the 1930s which are universally recognised as the PCK’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t movement. Then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CK’s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that is, their interpretation for the death-events. It shows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in the independent movement had conducted as a level of religious movement confessing their faith. Therefore the reaction of oppression and persecution of Japanese colonial power for them was clearly perceived as a religious persecution in the eyes of missionaries at that time, and current church historians in Korea has also interpreted it taking same viewpoints of the missionaries. However, the PCK does not actively launch to make them martyrs after nation’s liberation from Japan. It has clearly showed PCK’s rift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ir interpretation on the death-events and social act of making martyrdom. This seems to show that the PCK’s martyr-designation and interpretation on the death-events taken pl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reflect south Korean society’s systematic shift to anticommunism after the liberation and an unsolved issue on the settlement against pro-Japanes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rule over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