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금신보』 목판본 10건 연구 (Research into 10 Cases of Yanggŭm sinbo Woodblock-Printing Cop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3.12
53P 미리보기
『양금신보』 목판본 10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71호 / 185 ~ 237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혜

    초록

    이 글은 양덕수가 1610년에 찬한 『양금신보』 목판본의 종류와 소장처를 파악하고, 각 자료의 서지 상태를 검토하여 여러 목판본 중에서 선본 혹은 정본을 선정하고자 시도한 글이다. 현전하는 『양금신보』 목판본의 종류는 모두 11건으로 파악되었으나, 이 가운데 1건은 개인 소장으로 열람이 어렵기에 10건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양금신보』 목판본 10건 가운데 선본 혹은 정본을 선정하기 위해 원본의 낙장 여부에 따라 A유형과 B유형으로 구분하였고, A유형 중에서 손상으로 인해 보사 여부에 따라 A와 A'유형으로 세분하였다. 따라서 A'유형은 손상으로 인하여 보사된 것이며, B유형은 낙장 혹은 보사가 이루어진 것이므로 선본 혹은 정본이 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선본 혹은 정본은 A유형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A유형에 해당하는 목판본은 서울역사박물관본, 국립중앙박물관본, 국립민속박물관본 이상 3건이다. 이 가운데 국립중앙박물관본은 책 중간에 낙서가 있는 것이 흠이었다. 국립민속박물관본의 경우 역시 책 중간중간에 낙서가 있으며, 마지막 2장 분량은 손상을 입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A유형 가운데 서지 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은 서울역사박물관본으로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양금신보』 목판본 10건 가운데 서지 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은 서울역사박물관본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연구 과정에서 안춘근본의 거문고 산형 세주에 서울역사박물관본에 없는 내용이 목판본으로 남아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안춘근본이 서울역사박물관본보다 앞서 인쇄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므로 서울역사박물관본을 선본으로 간주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결국 서울역사박물관본은 선본이라 하기보다 정본 혹은 대표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양금신보』는 서울역사박물관본을 텍스트로 삼고 안춘근본을 참고본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음악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양금신보』 목판본 6건을 새롭게 소개한 데 가치가 있고, 여러 목판본 가운데 정본을 선정한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bout the types of the woodblock-printing version of Yanggeumsinbo, compiled in 1610 by Yang Tŏksu, and their locations, so that a standard version can be selected from several woodblock-printing copies by examining the bibliographical conditions of each copy. There are 11 instances of the woodblock-printing version of Yanggŭm sinbo, of which one is in a private collection. Thus, 10 instances were available for the research.
    In order to select a standard copy, each case had to be classified into the categories of A and B, depending on whether the document has missing pages or not. A further classification into A and A' was made among the cases in the A category,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supplemented copy or not. Accordingly, the cases that belong to either to A', the supplemented ones, or to B, the copies with missing pages and supplementation, couldn’t be candidates for standard copy. The search was narrowed down to those in the A category.
    There are three A category copies, one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other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other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 copy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doodles in the middle of the book, while the one from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not only has doodles in the book but also its last two sheets are damaged. The copy foun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on the other hand, is still in fairly good condition. In fact, the condition of its bibliography is considered the best among the 10 woodblock printing copies.
    In the process of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what the An Ch’un-gŭn copy has in its kŏmun’go sanhyŏng seju is not found in the copy of the Seoul History Museum. Due to the fact that this suggests that the An Ch’un-gŭn copy might precede the copy of the Seoul History Museum,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the original. The Seoul History Museum copy could be, rather, regarded as a standard or representative copy. Therefore, both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An Ch’un-gŭn copies should be studied for further research in Yanggŭm sinbo, with the former as the standard text and the latter for referen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introducing six woodblock-printing Yanggŭm sinbo copies to the Korean Music Academy for the first time and in selecting a standard copy among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