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鶴臯 金履萬의 賦에 나타난 堤川 ‘林湖’의 심상지리 - 「林湖賦」와 「閒居賦」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Imho’ in Jecheon in the Bu of Hakgo Kim Yi - man - With a Focus on His Imhobu and Hangeobu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09
48P 미리보기
鶴臯 金履萬의 賦에 나타난 堤川 ‘林湖’의 심상지리 - 「林湖賦」와 「閒居賦」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3호 / 323 ~ 370페이지
    · 저자명 : 권경록

    초록

    이 글은 鶴臯 金履萬의 「林湖賦」와 「閒居賦」를 중심으로 堤川 ‘林湖’의 심상지리를논한 것이다. ‘임호’는 제천 북쪽에 있는 큰 호수로, 지리적으로 남한강 수로를 이용해서울로의 접근이 용이한 충청지역에 위치하고, 강원도에 치우쳐 고립된 지세, 사시사철변화하는 수려한 수변 풍경 등 자연 친화적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곳이다. ‘임호’는 園林 공간의 사유체계 속성인, 관계 지향적, 변화 지향적, 환경 지향적 속성을 지니는 장소였다. 김이만은 ‘임호’에 자신이 꿈꾸는 삶을 구체화 하여 ‘樂拙’의 심상공간을 구축했다.
    「林湖賦」와 「閒居賦」에는 김이만의 공간 인식 체계와 지향하는 삶의 방향성이 제시된다. 김이만은 ‘임호’의 경관을 하나의 원림 체계로 인식했다. 김이만은 計成의 園冶 에제시된 상하좌우 및 시점에 따른 5관점과 潘岳의 「閑居賦」에 보이는 철학을 계승했다. 김이만은 「임호부」에서 漢陽客과 임호 주인의 문답형식을 빌려 수려한 임호의 인문․자연 지리적 공간성을 핍진하게 그려낸다. 김이만은 ‘임호부’에서 임호 주변 공간을 동서남북 네 구역으로 구획하고, 사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관을 표상했다. 이러한 구획과 표상체계는 임호 주변 지역의 실재 地勢와 공간성을 반영한 것이지만, 김이만의 지리 감각과반악의 「한거부」에 나타난 철학이 반영된 결과이다. 김이만에게 있어서 ‘林湖’는 굽히고 비워서 분수를 지키는 ‘樂拙’을 실천해 나가는 공간 이었다. 「樂拙齋記」에는 김이만이 인식하는 ‘樂拙’의 개념이 제시되고, ‘한거부’에서는 그 실상이 명시적으로 드러나 구체화 된다. 김이만에게 ‘임호’는 몸가짐을 고고하게 하는 물러남의 장소가 아니라, 평범한 民 속으로 들어가 소박한 小民의 삶을 영위하고 그 속에서 가장 民다운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이 꿈꾸는 공간 세계를 구축하여 드러내 보이는 장소이며, ‘樂拙’의 심상지리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 discussion about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Imho’ in Jecheon with a focus on Imhobu and Hangeobu by Hakgo Kim Yi-man. ‘Imho’ is a huge lake in northern Jecheon and place for naturefriendly life with its location in Chungcheong Province with easy access to Seoul via the waterway of southern Han River, its topography inclined toward Gangwon Province, and its beautiful waterside scenery changing season after season. It is also a place with relation-, change-, and environment-oriented attributes, which are the attributes of thinking system in the garden space. Kim Yi-man embodied the life of his dream in the lake and built his imaginative space called ‘Nakjol’.
    His Imhobu and Hangeobu reflect the system of his spatial perception and the directionality of life he was oriented to. He recognized the landscapes of ‘Imho’ as a garden system and inherited Gyeseong's five perspectives in Wonya according to up and down, right and left, and viewpoints and the philosophy of Banak's Hangeobu. In his Imhobu, Kim borrowed the question-answer approach between a guest from Hanyang and the owner of Imho and vividly represented the geographical spatiality of beautiful Imho based on humanities and nature. He also divided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lake into four sections in the four directions and represented its landscapes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nges. Those sectioning and representation systems reflect both the actual topography and spatiality of surrounding areas of the lake and also Kim's geographical senses and Banak's philosophy in his Hangeobu. To Kim, ‘Imho’ was a place to practice ‘Nakjol’ by yielding, emptying, and keeping within due bounds. Nakjoljaegi presents the concept of ‘Nakjol’ perceived by him, and Hangeobu explicitly revealed and specified its reality. ‘Imho’ was not a place for taking a detached attitude and withdrawing to him. As far as he was concerned, it was a place for leading a humble life of petit bourgeois among people and building and revealing the spatial world of his dream as the most commoner-like member of society, representing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Nakj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