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Local Governance Policy of English Labour Party after 1990s: Estimating Hegemony and Citizen Participation Democrac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1.08
44P 미리보기
1990년대 이후 영국 노동당 정부의 로컬거버넌스 정책-헤게모니 문제와 시민참여민주주의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43호 / 141 ~ 184페이지
    · 저자명 : 장세룡

    초록

    이 연구는 영국의 로컬거버넌스에 주목하여, 밥 제솝과 닐 브렌너의 신그람시주의 전략관계적 접근이라는 비판적 메타이론으로 접근하였다.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이름으로 부단히 경쟁하고 움직이며 글로벌-국가-로컬이 상호영향을 끼치며 작동하는 공간이다. 로컬거버넌스 공간은 조절체계의 ‘문화적’ 역동성 특히 자본 축적과 조절이 헤게모니 및 반-헤게모니적 구성으로 작동하며, 지배적인 사회정치적 힘 가운데서 집단적 사회적 행동과 투쟁의 우연적 산물이다. 특히 도시공간규모는 능동적 정치적 구성물로서 구조적이고 선택적 제도화가 추구되는 전략적 공간규모로서 탐구대상이다. 그러나 로컬거버넌스가 자치와 분권을 강조하지만 국민국가의 제도가 위계적 의미나 장악력을 상실한 것은 아니다. 기존 국가공간이 광범한 국가 기획 대상으로서 가변적이고 비결정적인 다중공간규모적 제도의 위계에서 작동할 뿐이다.
    로컬거버넌스 담론에서 신자유주의 축적과 조절 전략은 다양한 표상적 담론 경쟁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거기에 신자유주의에 동조하는 표상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반-헤게모니적 저항 협상과 상호선택 담론 역시 표명된다. 국가구조와 사회세력이 통합적 국가를 형성하고 주형하는 과정에서 국가재조직과 경제재구조화에서 공간규모의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과 의미에 관한 설명은 국가를 영토, 공간, 장소 및 관계망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으로 모순과 난관 그리고 긴장을 내포한 실체 인식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것을 잘 표현하는 것이 국가-로컬의 내외적 관계 재구성을 위한 공간규모재조정 전략이다.
    공간규모재조정에서 담론적 헤게모니는 강력한 행위자인 전지구화 자본과 국가 권력이 장악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의 참여나 일상적 의회민주주의 역시 구체적 삶의 환경에서 상상력이나 상징들의 가치를 선택과 구성 혹은 확산시킬 수 계기와 공간과 장소도 주어져 있다. 비록 전지구적 세계화라는 동력이 국가를 매개로 로컬거버넌스를 외부에서 추동하지만 그것 자체는 공간규모, 장소, 관계망이 함께 작동하며 부단히 경쟁하는 정치적 공간성의 장이다. 그러므로 특정 공간성이 더 우위에 존재하지는 않고 참여자들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운동 방식으로 참여와 민주주의를 지향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전략관계적 접근에서 로컬거버넌스 평가는 특정 담론 전략에 호의적이고 특정 정책 실천을 제시하며 헤게모니적 국가형식 출현에 주목하는 측면이 있다. 물론 그것이 메타이론인데서 온 결과이겠지만, 로컬거버넌스의 자율성과 헤게모니가 담론으로만 강조하는 측면이 많아서, 실제로 국가와 로컬이 헤게모니 전략관계로 작동하는지 의심의 여지도 있다. 그런 의문은 장차 구체적 사례연구로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problem of local governance in U. K focused with critical metatheory of the neo-Gramscian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of Bob Jessop and Neil Brenner etc. The case of English local governance represents the politics and administration of local by subnational dimension based on regional community that promoting civil particip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local governance emphasizes the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but in reality the nation state's institution has not lost its hierarchical meaning and real power. Rather the nation state space becomes the object of multiple national project and is operating on the comprehensive restructuring by variable, non-determinative multiscalar system.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managed by hegemonic and counter-hegemonic composition of accumulation and regulation of neo-liberal global capital, and that is the production of occasional social action and struggle in dominant socio-political forces. Especially urban space is a kind of strategic scale which is in search of structural and selective institutionalisation as an interactive political constructions. And this strategy also has triggered multiple representative discoursal competitions. But in discourse of local governance, there re not all the representations aligned with neo-liberalism. But also the counter-hegemonical resistance and negation and inter-selective theories.
    Recently some explainations have stressed on the meanings and aspects of the reorganisation and restructuring of nation state in multiscalar scale politics of integral state that is composed by the national structure and social force. So it is inclined to the convergence of the notion of state as a reality involving the dialectical interacted contradiction, dilemma and string in multiscalar territorial spaces and networks. In the rescaling, process of multiscalr nation state, the discoursal hegemony is not grasped only by global capital or the power of nation state, but also selected and composed or dispersed the values of imaginations and symbols in the concrete circumstance by citizen participation of a society and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lthough in local governance space, the driving force of globalisation intervenes through mediation, itself is a site of political spatiality where scale, place, network are operating and contesting. So the special spatiality is no more predominant, and then participants are directed toward participation and democracy by the method of complex and diverse social movement.
    The space of local governance is that which is in permanent competition and moving and operating in the interactive context of local-national-global. But the strategic relational approach implies the negative element suggesting administrative practice that is more favorable to explain the appearance of the mode of hegemonic relations. In reality, the autonomy and hegemony of local governance in Neo-Gramscian strategic relations are stressed only as discourses. So there are some doubts on the reality of the hegemonic relational approach between nation state and loc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