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스라엘의 찬양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 드라마 구성적 관점으로 본 시편 22편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 Psalm 22 from a drama compositional perspectiv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1.06
32P 미리보기
“이스라엘의 찬양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 드라마 구성적 관점으로 본 시편 22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3권 / 2호 / 31 ~ 62페이지
    · 저자명 : 하경택

    초록

    본 논문은 시편 22편을 드라마 구성적 관점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드라마 구성적 관점에서 보면 시편 22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국면을 갖춘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시편으로 이해된다: ‘탄원 기도의 상황’(1-21전반절), ‘감사 찬양의 상황’(21후반절-26절), ‘종말론적인 구원과 찬양의 상황’(27-31절). 이러한 구성 속에서 드러나는 시편 22편의 중심주제는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하나님’이다. 1연과 2연에서는 이 고백이 탄식의 토대요, 청원의 출발점으로 기능한다. 왜냐하면 화자의 상황이 ‘이스라엘의 찬양’에는 어울리지 않는 하나님의 ‘멀리계심’과 ‘응답 없음’으로 경험되기 때문이다(1-2절). 그러나 3연에서는 이 중심주제가 하나님의 실제 모습으로 확인된다. 시편의 화자는 탄식과 청원에 응답하신 하나님을 경험한다(21후반절). 하나님의 응답을 경험한 화자는 찬양의 서약과 요청을 통해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분’임을 입증한다. 3연에서 회중(이스라엘)은 ‘야훼/그를 경외하는 자들’, ‘야곱/이스라엘의 모든 씨들’, ‘궁핍한 자/가난한 자들’, ‘야훼를 찾는 자들’ 등의 다양한 명칭을 통해서 명명된다(22-23절, 25-26절).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가난한 자들’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시는 ‘가난한 자의 하나님’이시다(24절). 4연에서는 ‘회중’의 범위를 벗어나는 찬양의 확대가 진술된다. 그것은 공간적인 차원과 시간적인 차원 모두를 망라하는 찬양의 확대이다. 이스라엘의 찬양은 민족의 경계(27-28절)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죽음의 경계(29-31절)도 넘어선다.
    시편 22편의 세 국면 모두 신약성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을 증언하는 예언으로서 인용되고 해석된다. 이러한 신약성서의 수용을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시편 22편의 화자인 ‘가난한 자’를 대변한다. 하나님은 부활과 승천을 통해 ‘가난한 자’ 예수의 탄식에 응답하시고, 경계를 넘어서는 찬양을 가능하게 하신다. 결과적으로 시편 22편을 인용하고 실행하는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삶과 사역을 통해서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하나님’을 증언한다. 또한 시편 22편의 독자들은 이 시편이 자신의 이야기가 되게 함으로써 ‘이스라엘의 찬양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을 증언하는 ‘가난한 자’의 삶으로 초대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Psalm 22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 composition. From a drama compositional point of view, Psalm 22 can be understood as a psalm showing a scenario with three phases: ‘situation of petition prayer’ (vv. 1-21a), ‘situation of thanksgiving praise’ (vv. 21b-26), and ‘situation of eschatological salvation and praise’ (vv. 27-31). The central theme of Psalm 22 revealed in this composition is the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In the first and second stanzas, this confession serves as both the basis for lament and the starting point for petitions. This is because the speaker experienced God's “distance” and “silence”, which is not suitable for “Israel's praise” (vv. 1-2). However, in the third stanza, this central theme is confirmed as the reality of God’s presence. The speaker of the psalm experiences God, who responds to laments and petitions (v. 21b). The speaker who has experienced God's response proves that God is “the one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through the pledge and request of praise. In the third stanza, the congregation (Israel) is named through various designations such as ‘those who fear Yahweh/him’, ‘all the seeds of Jacob/Israel’, ‘the needy/poor’, and ‘those who seek Yahweh’ (vv. 22-23, 25-26). The God of Israel is the “God of the poor” who answers the cry of the “poor” (v. 24). In the fourth stanza, the expansion of praise beyond the scope of “congregation” is stated. It is an expansion of praise that covers both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The praise of Israel goes beyond the borders of the nation (vv. 27-28), as well as the limits of death (vv. 29-31).
    All three aspects of Psalm 22 are quoted and interpreted in the New Testament as prophecies testifying to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Christ. Following this New Testament reception, Jesus Christ represents the “poor”, the speaker of Psalm 22. Through resurrection and ascension, God responds to the lamenting of Jesus, the “poor,” and enables praise beyond boundaries. As a result, Jesus Christ, who quotes and practices Psalm 22, testifies to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through his life and ministry. In addition, readers of Psalm 22 are invited to the lives of the “poor” who testify to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by making this psalm their own 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