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마경』의 유마거사상과 문수보살상 不二인 세속과 탈속 (Vimalakīrti and Mañjuśrī Bodhisattva from Vimalakīrtinirdeśa: the Mundane World and the Otherworldliness in the Person of Non-dua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유마경』의 유마거사상과 문수보살상 不二인 세속과 탈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6권 / 286호 / 5 ~ 29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불교에서의 출가는 신체의 보존, 부모 봉양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위이다. 유교의 ‘효’ 관념에 따르면 삭발 출가는 신체를 훼손하는 것일 뿐 아니라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것이며, 후손을 끊는 패륜이었다. 「대성효이세부모」조의 주인공인 김대성은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지만 출가하여 부모에 대한 효를 저버리는 일을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불교의 선행, 즉 공덕을 쌓아 길러준 부모에게 보답하기까지 하였다. 기록 속의 그는 불교의 ‘효’ 관념이 극대화된 인물로 묘사되었다. “(김대성)이 한 몸으로 두 세상의 부모에게 효도하였는데, 이는 예전에도 들어보기 어렵다”고 적고 있는 것처럼, 두세상의 부모에게 효도한다는 자체가 희귀한 일인 것이다. 일연은 이처럼 드문 김대성의 사례를 ‘효’의 대표 본보기로 삼았다. 세속적 윤리[孝]와 종교적 신앙[善] 사이의 갈등을 해소하고 조화를 꾀하기를 바랐던 김대성에게 자신의 이상형으로 다가온 존재가 바로 『유마경』의 유마거사였을 것이다.
    유마거사는 탈속하지 않고 세속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출가자는 물론이고 심지어 ‘지혜제일의 문수보살’까지 능가하는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자신이 펼친 ‘세속과 탈속은 둘이 아니다’는 불이법문을 몸으로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석굴암의 중요한 자리에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상이 놓이게 된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신라인에게 ‘효’가 중요한 만큼 유마거사와 문수보살의 대담 장면은 재가불교, 특히 신라 지배계층에게 사랑받는 중요한 주제였다. 석굴암 조영 연기에도 역시 ‘효’가 중요한 주제였던 만큼 석굴암의 주관자는 유마거사를 선택했다. 석굴암의 본존 좌우 감실에 유마와 문수상을 배치한 것은『유마경』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 경에서 이야기하는 僧俗의 초월과 不二의 이상을 강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穢土와 佛國土가 다르지 않다’는 유마거사의 불이사상은 예토에 불국토를 만들고 그 중생과 국토를 청정하게 하여 결국 신라 불국토를 이루려고 했던 신라 왕실의 염원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Renunciation of the secular life to become a monk in Buddhism is an act that is contrary to the preservation of one’s body and duty of looking after one’s parents. According the idea of filial piety in Confucianism, tonsure is the equivalent of rejecting to look after one’s parents as well as damaging one’s body, an immoral decision to cut off one’s bloodline. The main character of the section “Daeseong’s Filial Piety for His Parents in Past and Present Life” in the Samguk yusa, Kim Dae-seong was a devout Buddhist. He renounced secular life, yet he never forgot to support his parents. He also practiced good deeds in religious terms, and repaid what he owed to his parents who had raised him. In the record, Kim was depicted as the ultimate embodiment of filial piety. As the record reads, “He (Kim Daeseong) served his parents in the two worlds, an act that has never been heard of before”; it was extremely rare to be devoted to one’s parents both in the present and past world. Iryeon took the anecdote about Kim as an exemplar of filial piety. For Kim Dae-seong, who wishe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secular ethics (filial duty) and religious faith (good deeds) and seek harmony between them, the most ideal figure may have been Vimalakīrti from the Vimalakīrtinirdeśa-sūtra(The holy teachings of Vimalakīrti). Vimalakīrti remained in the secular world while reaching the highest level surpassing that of bodhisattvas, considered to hold the greatest level of wisdom as well as other Buddhist monks. Vimalakīrti was the one who demonstrated that the secular and non-secular world are no different-the teaching of non-duality. For these reasons, the statues of Vimalakīrti and the bodhisattva Mañjuśrī may have been installed at the important loc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As much as filial piety was important to the people of Silla, the scene of Vimalakīrti and the bodhisattva Mañjuśrī having a conversation was an important subject matter beloved by Buddhist families, in particular Silla’s ruling class. As much as filial duty wa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okguram grotto, its chief designer chose Vimalakīrti.
    The reason why the statues of Vimalakīrti and Mañjuśrī are at the Buddhist tabernacles on each side of the Seokguram Buddha was to remind the viewer of the importance of Vimalakīrtinirdeśa-sūtra as well as to emphasize transcending the division between monk and lay people and the ideal of non-duality. Moreover, the teachings of non-duality of Vimalakīrti-the secular world and the Buddha land are no different-was in collusion with Silla’s wish to build the Buddha land in the secular world, to cleanse the world and the land, and in the end, to render the Silla as a land for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