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을 위한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overnance for Public Design of Elementary School Commuting Road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을 위한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1호 / 465 ~ 476페이지
    · 저자명 : 박하진, 백승경,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공간을 개선하는 것은 정부기관 및 행정조직의 일방적 행정사업으로 치부되었으나 2011년 9월 개정된 지방재정법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주민이 사업의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주민이 주체가 되어 공공공간을 개선하는 흐름에 따라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을 거버넌스로 접근하고자 한다. 공공디자인 거버넌스의 구성과 활용을 통해 이용자 관점에서 아동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자 관점에 따른 거버넌스의 특징을 도출한다. 서울 디자인 거버넌스를 통해 공공디자인 거버넌스 유형과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통학로의 공공디자인 거버넌스 구성과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공공디자인 거버넌스는 문제해결의 실행형태에 따라 환경개선형, 행동유도형, 관계개선형, 문화형성형으로 분류된다. 환경개선형 공공디자인 거버넌스는 이용자에게 일반적인 공간 및 환경 분야의 공공디자인 개념으로 실체적 개선에 해당되며 초등학교 통학로는 환경개선형으로 분류된다. 거버넌스 그룹은 민간, 전문가, 기관, 정부의 구성으로 운영되며 공공디자인 단계에서 이해관계자의 특성에 따라 참여가 이루어진다. (결론) 서울시 중구의 3개 초등학교 통학로 개선 사례를 통해 공공디자인 거버넌스에 대한 중요성과 이해관계자를 통한 통학로 공공디자인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에 있어 이해관계자에 따른 통학로의 실질적 문제를 이끌어내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 그룹의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해야한다. 민간, 전문가, 기관, 정부로 구성된 각 그룹은 상호 작용하며 통학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존적으로 협업하고 역할과 내용을 확장하여 결과물을 도출해야 한다. 효과적인 사업의 성과를 위해서는 정부 그룹이 사회자 역할로 투명하고 명확한 판단과 결정을 해야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디자인 거버넌스는 단일화된 그룹이 아닌 자율성, 상호작용, 의존성, 협력과 조정,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유기체처럼 구성되고 운영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통학로는 이용자인 아동에게 일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인 환경으로 공공디자인 거버넌스의 구성과 활용을 통한 개선은 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mproving public spaces was once regarded as a one-sided administrative project by government agencie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however, in September 2011, according to the revised Local Finance Act, the resident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was actively introduce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roject to be carried out by residents. In line with the trend of improving public spaces with residents as the main bodies, we intend to improve the public design of elementary school roads through governance.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public design governance is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public design to ensure a pleasant and safe school route for childr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Metho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oncepts for governance were establis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ance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types and processes of public design governance through Seoul Design Governance, we draw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and use of public design governance for elementary school commuter roads. (Results) Public design governance is classified into environment improvement, action-inducing,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culture forma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ype of the problem solving.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type of public design governance is a public design concept in general spaces and environments for users, and it corresponds to substantial improvement. The governance group is operated by the private sector, experts,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and participation is dec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the public design stage.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governance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ublic design of school roads through stakeholders were deriv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route at three elementary schools in Jung-gu, Seoul. Deriving and solving the practical problems with the school route according to the stakeholders and improving the public design of the elementary school route should be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the private group. Each group consisting of the private sector, experts,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must interact and collaborate to solve problems with the commuter path, expand the roles and content, and deliver results. For effective project performance, government groups must make transparent and clear judgments and decisions regarding the role of the moderator. This study confirmed that public design governance is structured and operated as a single organism through autonomy, interaction, dependence,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nd networks, rather than as a unified group. A commuter road is a physical environment that can affect the daily lives of children, an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so that improvement through the composition and use of public design governance reflects the needs of us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