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本居宣長의 死生觀 硏究 ―遺言書를 中心으로― (Motoori Norinaga's View on Death and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07.12
22P 미리보기
本居宣長의 死生觀 硏究 ―遺言書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16호 / 379 ~ 400페이지
    · 저자명 : 야마구찌가즈오

    초록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 1730~1801)는 종교적 영혼의 구원이나 내세에 관한 마음의 안정, 즉 ‘안심(安心)’이라는 것은 없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죽음이란 것이 존귀한 자도 낮은 자도 선인도 악인도 모두 죽으면 저승으로 가야 하는 슬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노리나가는 죽기 1년 전 간세이(政)12년 7월에 한통의 유언서(遺言書)를 써서 남긴다. 내세를 부정했음직한 노리나가가 이러한 사후세계를 바라보는 듯한 유언서를 남기는 데 있어서 그의 사생관을 밝히는 의의가 있다. 또한 그의 사생관을 밝히는 통시에 유언서의 진의를 살펴보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이 된다.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생관을 두 개념으로 나눈다. 하나는 내재적 사생관이고, 또 하나는 외재적 사생관이다. 내재적 사생관이란 것은 ‘죽음’에 대해 가지는 마음 자세와 사상적인 측면이다. 외재적 사생관이란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가리킨다. 노리나가는 ‘죽음’이라는 것은 오직 슬픈 것이고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인간의 도리(道理)라고 했다. 그리고 ‘안심’이라는 것이 없고 ‘안심’이 없는 것이 ‘신도의 안심’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의 사상 핵심인 ‘모노노아와레’는 어떤 사물에 접하여 감동하는 마음의 상태인데, 그 속에 공감, 동정 그리고 의속(依屬)이라는 작용도 포함된 것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슬픔’과 ‘안심’ 그리고 ‘모노노아와레’라는 사상적 측면을 종합해서 고찰한 결과 ‘죽음에 대한 친근감(親近感)’이란 내재적 사생관을 밝혔다.‘죽음에 대한 친근감(親近感)’이란 어떤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인가. 이것을 파악하기 위해 가토슈이치(加藤周一)의 일본인의 사생관과 이소베다다마사(磯忠正)의 무상의 구조(無常の構造) 그리고 야나기다쿠이오(柳田男)의 영혼관을 살펴봤다. 그 결과 ‘현(顯)과 유(幽)의 교류’라는 현상을 찾아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죽어도 이 나라에서 영혼이 머무르게 된다는 현상이고 이것이 외재적 사생관이다. 따라서 내재적 사생관이었던 ‘죽음에 대한 친근감’은 현상에 나타나는 외재적 사생관으로서 표현한다면 영혼이 이 땅에 머무르게 하는 것으로 고찰한다. 이러한 노리나가의 사생관을 ‘현유의 교류’라는 사생관을 전제로 유언서를 살펴본다. 유언서는 노리나가의 집안과 관련이 깊은 쥬케이사(樹敬寺)와 야마무로산에 위치한 전망이 좋은 묘우라쿠사(妙寺)란 두 곳을 지정한다. 특히 이 묘우라쿠사에 있는 묘에는 구체적으로 지시를 한다. 벚꽃 나무를 심고 그가 애용한 책상, 노래가 적힌 자화상, 서재, 위패 등, 생전에 사용한 그대로 기일에 준비하고 와카(和歌) 모임을 열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유언서의 지시 내용을 고찰한 결과 노리나가의 의식 속에는 ‘현유의 교류’가 보이게 된다. 즉 그의 영혼이 죽은 후에도 살아 있을 때와 같이 이 묘우라쿠사 묘에 머무르고 영원히 벚꽃을 보고 와카를 즐기는 것이다.특히 벚꽃 나무에 관한 지시는 특별하다. 노리나가의 자화상은 벚꽃 노래가 들어가고, 애용한 홀은 벚꽃 나무로 만든 것이고, 위패(位牌)로 아키쯔히코미즈사쿠라내노우시(秋津彦美豆櫻根大人)로 적어라 지시한다. 이러한 내용은 노리나가의 벚꽃에 대한 애착이고 유언서의 중심적인 소원은 벚꽃 나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노리나가가 영원히 영혼을 머물게 하는 곳은 유언서의 중심인 벚꽃 나무 그 자체였다.

    영어초록

    Norinaga said, “There is no relief, no relief is the Shinto's relief.” when someone asked him about the religious relief. He insisted that everyone could not help going to Yomi (the world after death in the Japanese myths) and death was the most sorrowful thing for the mortal. He denied, on the model of the ancient morals of the Japanese myths, Confucian and Buddist views on death as false and untrue. But he left a mysterious testament just before he died which mainly concerned his graveyard.
    I formed two concepts called an internal view on death and life and an external view on death and life, in order to make research on Norinaga's views on death and life.
    I research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ef and sorrow to study Norinaga's views on death and life. I found that the internal view on death and life is familiarity to death, and the external view on death and life is that the soul remains in the tomb. In other words, we can say that such a view on death and life is an exchange between this world and the world after death. Therefore I interpreted the meaning of his testament as the expression that he eternally hoped to stay in the burial ground located on Mt. Yamamuro.
    As we know it through the text, Mononoaware is a mental state of being deeply moved when someone experiences joy, excitement and happiness. If so, what is the object of deep impression that Norinaga had attachment for? This is the cherry tree which he indicated in detail in his testament. We can understand how much attachment he had for the cherry tree when we look at the self-portrait containing a waka(a Japanese poem) of the cherry tree, the scepter made of cherry tree and the cherry tree on top of his grove.
    The true meaning of his testament is that his soul will live in the cherry tree, and not in the burial on the Mt. Yamamur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