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Domestic and Oversea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12
16P 미리보기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6호 / 157 ~ 172페이지
    · 저자명 : 신윤재, 이소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현재 전 세계적으로 도시계획의 주제는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에 있어서, 특히 거버넌스에 집중하여 국내외 주요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는데 있다. 도시재생 관련 사업이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집행되는지, 국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민관협력에 의한 파트너십의 차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도시재생 거버넌스에 관한 최근 5년간의 동향변화를 파악하여 변화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며, 공간적으로는 한국,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각 국가의 거버넌스 측면과 런던, 파리, 뉴욕, 시애틀, 도쿄 등 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례를 조사하여 거버넌스와 연계한 도시재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국내외의 구체적인 사례조사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도시재생 및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4장에서는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전체 내용에 대한 결론을 맺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거쳐, 파트너십에 근거한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 도시재생과 거버넌스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파트너십에 의한 민간 커뮤니티의 역할과 시민참여 프로세스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욱 더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될 것으로 본다. 또한 도시재생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의 예산이 투입되는 경우, 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불이익을 받거나 소외되는 계층에 대한 면밀한 사전분석을 통해, 정책의 영향이 시민들에게 골고루 향유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려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사업의 집행 후에는 객관적 평가를 통해 다음 정책에 적절히 환류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축도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의사결정 과정과 사례를 통해, 미래 도시의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으로, 시민 삶의 개선을 위한 보다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도시재생의 정책 결정ㆍ집행ㆍ평가의 각 단계에서 거버넌스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It can be said that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 buzzword of urban planning carried out worldwide. In the midst of such a change in urban planning paradigm,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formulating a variety of policies associated with urban regeneration. Under su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major policies and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ith a focus on governance. This study intends to check relevant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partnership via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Method)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factors of change made over the past five years in urban regeneration-related governance through a survey of foregoing studies. Spatial scope-wise,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urban regeneration by checking the governance in countries like Korea, the United Kingdom, Franc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urvey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major cities like London, Paris, New York, Seattle and Tokyo. Methodologically, this study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based on theoretical surveys and preceding studies and then engaged in a survey of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Chapter 2 focuses on a survey of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about urban regeneration and governance. Chapters 3 and 4 contain surveys and analyses of cases within SMG and abroad, respectively. Chapter 5 states the conclusion. Through such a flow, this study deals with governance cases on partnership-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urban regeneration and governanc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working as an irreversible trend. It appears tha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artnership-based private communities and people-participating process will become larger. Also, in spending public budget for fostering the urban regeneration ecological system,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the effects of relevant policies are evenly distributed to people through meticulous pre-analysis of less-privileged people in the policy-making and execution process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ensures relevant feedback to other policies based on objective appraisal of the projects carried ou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relevant cases to ponder possible directions that should be adopted by cities in the future.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proper working of the role of governance in each stage of policy decision, execution, and appraisal with the aim of making better residential c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