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문화분권과 문화거버넌스 사례연구 (Decentralization and Governance of Culture in Fr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9.12
19P 미리보기
프랑스 문화분권과 문화거버넌스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5권 / 4호 / 7 ~ 25페이지
    · 저자명 : 한상정

    초록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앙굴렘국제만화축제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많은 분란을 일으켰고, 최근에 와서야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앙굴렘이라는 소규모 도시가 만화도시라는 이미지를 만들어왔던 것은, 문화분권과 문화거버넌스의 결과물이다. 1974년에 만화축제가 열린 것은 우연이었지만, 198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역분권의 역사와 함께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만화축제를 시작으로 만화관련 전문기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만화진흥센터(CIBDI), 만화학교(EESI)라는 문화협력 공공법인(EPCC), 이미지 클러스터(Magelis)라는 혼합조합(syndicat mixte)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앙굴렘 코뮌, 그랑앙굴렘 도시권 공동체(EPCI), 샤랑트 중광역도, 누벨ᐨ아키텐느 광역도에 이르기까지의 각급 정부 및 공적 법인들이 공적 자원을 분배하고 지원하면서 문화분권의 토대가 형성되었고, 만화를 둘러싼 거버넌스가 생겨났다. 오랜 기간동안 서서히 만들어졌던 거버넌스는 2007년에 앙굴렘국제만화축제를 설립한 비영리단체가 느비엠아르+(Nevieme Art+)라는 회사에 10년간 예외적으로 위탁운영을 맡기면서 무너지기 시작했고, 10년이 지난 2017년에야 새로운 거버넌스의 토대를 만들었다. 문화분권과 문화거버넌스를 고민하는 우리에게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앙굴렘에서 발견할 수 있는다양한 정부, 단체 및 기관의 법적 지위를 정리한다. 이어서 앙굴렘국제만화축제의 거버넌스가 무너지는 과정, 그리고 이를 다시 구축해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적절한 법과 제도를 만드는 것, 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 민간의 자치역량을 키우는 것, 공적 권력의 독점을 제어하는 것, 무엇보다 분권과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오랜 시간을 들여 경험을 축적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ough relatively unknown in Korea, the organization of the Angouleme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Festival International de la Bande Dessinée d’Angoulême) had to experience a period of turbulence from 2007 to 2016 before achieving today’s stability. For a small city like Angouleme to earn its reputation as a city of Comics, active cultural policies and a real desire for cultural decentralization had to precede. Even if the beginning of the festival in 1974 in the city was almost a coincidence, the introduction of regional decentralization policies in 1982 made the idea of organizing a festival in a place remote from the capital attractive, which in turn encouraged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comics in Angouleme. Was thus born a center promoting comics (La Cité internationale de la bande dessinée et de l’image); the European Graduate School for Comics (École européenne supérieure de l’image) became a Public Corporation for Cultural Cooperation (Etablissement public de coopération Culturelle), and a cultural cluster (Magelis) was made a joint association (Syndicat Mixte). Besides, public funds were distributed among different public and political entities in the region (between the Municipality of Angouleme, the Grand Angouleme Agglomeration (La Communauté d’Agglomération du Grand Angoulême), the Department of Charente and the Region of Nouvelle-Aquitaine), fostering the basis for a decentralized, cultural governance. Nevertheless, this gradual effort was halted in 2007 when the organization of the festival, which was until then assumed by a non-profit organization, was devolved for 10 years to a private company (Neuvieme Art+); it was only 10 years later that new foundations for a public governance began to be laid out again. In order to supplement our ongoing reflections on the topic of cultural governance and decentralization, I will first outline the legal status of various political institutions and associations which can be encountered in Angouleme. I will then analyze the process by which the governance of the Angouleme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was destabilized and scrutinize its more recent efforts at reanimation. My aim will be to thereby sugges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adequate legal regime combined with an appropriate exploitation of it, a need to limit the monopoly of public prerogatives to nurture the autonomy of private sectors, and most importantly, to underline the decisiveness of accumulating experiences in cultural governance and decent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