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묘호란 직후 ‘李仁居의 난’ 연구 (A study on 'Rebellion of Lee In-geo' just after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7.06
38P 미리보기
정묘호란 직후 ‘李仁居의 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6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한성주

    초록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조선은 後金과 형제관계의 맹약을 맺었다. 그러나 후금과의 맹약은 인조반정의 명분 중 하나였던 광해군의 대외정책에 대한 비판을 잃어버리는 것이었다. 따라서 후금과의 강화에 반대하는 주장이 계속되었다.
    1627년 9월에 발생한 ‘이인거의 난’은 정묘호란 직후 후금과의 강화에 반대하여 일어난 최초의 역모 사건이었다. 이인거는 후금과의 강화에 분개하여 스스로 ‘倡義中興大將’이라 하고는 군사를 모아 서울로 올라가 主和派 신료를 처단하고 義州로 나가 후금을 막겠다고 성언하였다. 그렇지만 橫城의 幼學이었던 陳克一과 原州牧使 洪寶가 반란의 정상을 조정에 알렸고, 특히 홍보는 조정의 조치 전에 군병을 모아 이인거를 붙잡았다. 인조는 이인거의 무리를 취조하는 과정에서 “眞主가 있다”는 진술이 나와 문제가 되었음에도 이러한 진술을 묵과하였다. 인조는 이인거의 난과 관련되어 종친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한편 1628년(인조 6) 1월에는 소위 ‘柳孝立의 난’이 발생하였다. 유효립 등은 대비와 광해군의 밀지를 운운하며 광해군을 上王으로 삼고 仁城君을 추대하고자 하였다. 인조는 유효립의 공초를 불태우라고 명령함으로써 또다시 종친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인조에게 있어 단순한 고변과 역적의 진술만으로 종친을 처벌한다는 것은 광해군의 ‘廢母殺弟’와 다름이 없었다.
    그렇지만 ‘이인거의 난’에서 “진주가 있다”라는 진술이 나오고, 유효립의 난에서 인성군 추대 시도가 나오면서, 당시의 여론은 두 사건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진주가 있다”고 진술하였던 이인거의 무리에 대한 재국문이 이루어졌다. 결국 인조는 부득이 인성군의 유배와 자결을 명하였다.
    이후 인조는 이인거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昭武功臣과 유효립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寧社功臣 등과 함께 會盟祭를 거행하였으며, 두 차례의 녹훈을 한 차례로 하여 『昭武寧社錄券都監儀軌』를 만들었다.
    정묘호란의 결과 조선은 인조반정의 명분이었던 광해군의 ‘再造之恩배반’이라는 비판을 더 이상 논할 수 없게 되었다. 정묘호란 직후 일어난 이인거의 난은 인조반정 주체 세력들의 자기모순을 뼈아프게 지적한 셈이 되었다. 그리고 이인거의 난과 유효립의 난 등 역적의 고변과 진술만으로 왕실의 일원인 인성군을 죽인 것은 인조반정의 또 다른 대명분이었던 광해군의 ‘폐모살제’에 대한 비판을 무색하게 만들었고 인조반정의 명분을 스스로 잃어버리게 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When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occurred in 1627(Injo 5), Joseon made a pledge of relationship of brother with the Later Jin(後金). But the pledge was against criticism on foreign policy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which is one of justifications for Injo(仁祖) coup. So some continued to oppose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Rebellion of Lee In-geo(李仁居)’ occurred in September, 1627 just after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was the first rebellion to oppose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Lee In-geo resented peace treaty with the Later Jin and called himself ‘ChanguiJoongheung Daejang(倡義中興大將)’, and said that he would gather up the military and go up to Seoul to punish retainers of group to oppose war(主和派) and fight with the Later Jin in Uijoo(義州). However, Jin Geuk-il(陳克一), a Confucian without official rank in Hoengseong(橫城) and Hong Bo(洪寶), the governor of Wonju(原州牧使) informed situation of rebellion to the Court. Especially, Hong Bo gathered soldiers before taking action by the Court and caught Lee In-geo.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on group of Lee In-geo, there was a statement that “a true lord(眞主) exists”. But he overlooked this statement. This is because he did not want to get royal clansmen to suffer in regards to the rebellion of Lee In-geo.
    On the other hand, so called ‘the rebellion of Yoo Hyo-lip(柳孝立)’ occurred in January, 1628(Injo 6). Yoo Hyo-lip etc., saying secret orders of Queen Mother and King Gwanghaegun, made Gwanghaegun another King and tried to have the honor of having Inseonggun(仁城君) as King. Injo ordered to burn statement to describe crime related to Yoo Hyo-lip to protect royal clansmen again. To Injo, it was no different from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of Gwanghaegun to punish royal clansmen only with simple statement and rebel’s statement.
    However, there was a statement that “a true lord exists” in regards to the rebellion of Lee In-geo. In the rebellion of Yoo Hyo-lip, he tried to have the honor of having Inseonggun as King. So public opinion at the time recognized that the two events were connected. As a result, investigation was made again on the group of Lee In-geo who stated that “a true lord exists”. In the end, Injo ordered exile and then suicide to Inseonggun.
    Since then, Injo held Hoimaengje(會盟祭) together with Somu meritorious retainers(昭武功臣) who contributed to suppress the rebellion of Lee In-geo and Nyeongsa meritorious retainers(寧社功臣) who contributed to suppress the rebellion of Yoo Hyo-lip etc. Two Nokhoons were integrated to one, 『Somunyeongsarokgwon Dogamuigwe(昭武寧社錄券都監儀軌)』.
    As the result of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oseon could not discuss longer about criticism on Gwanghaegun’s betray of ‘Grace to save ruined nation(再造之恩)’ which was justification for Injo coup. Rebellion of Lee In-geo(李仁居) just after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painfully pointed out self-contradiction of subject forces for Injo coup. And in the rebellion of Lee In-geo, rebellion of Yoo Hyo-lip etc., Inseonggun who was one of royal family was killed based on simple statement and rebel’s statement. This overshadowed criticism on ‘Deposing mother and killing younger brother(廢母殺弟)’ of Gwanghaegun which was another great justification. This also made lose cause of Injo c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