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조 6년(1806) ‘丙寅更化’의 전말과 그 처결 - 金達淳 獄事를 중심으로 - (The Byeong’in-year Purge(‘丙寅更化’) in 1806(King Sunjo’s 6th year) - Examination of its Progress and Conclusion, with a focus on the Punishment of Kim Dal-sun(金達淳獄事) -)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6
56P 미리보기
순조 6년(1806) ‘丙寅更化’의 전말과 그 처결 - 金達淳 獄事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63권 / 145 ~ 200페이지
    · 저자명 : 김정자

    초록

    1762년(영조 38) 思悼世子가 사망한 ‘壬午禍變’ 이후, 사도세자 관련 사안은 禁令으로 禁忌시 되었다. 그러나 사도세자의 아들이 王世孫인 상황에서 사도세자 관련 사안은 핵심 懸案으로 內在하고 있었다.
    正祖가 즉위하자 ‘사도세자 伸冤 上疏’가 올라왔으나, 정조는 英祖의 유언대로 正法하였다. 이후, 사도세자와 관련한 사안은 역적 세력의 謀反을 일으키는 ‘邪說’이 되었다. 1792년(정조 16)에 이르러 老·少論, 南人 내에서 ‘사설’이었던 사도세자 伸冤·追崇 관련 상소가 올라왔다.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밝히는 辨誣와 역적들에 대한 討罪 요청이었다.
    그러나 정조의 서거 후, 1801년(순조 1)에 ‘사설’은 ‘邪學’인 ‘西學’ 사안과 함께 僻派 세력에 의한 時派 세력 축출의 명분이 되었다. ‘사설’·‘사학’ 외에 ‘誣告’도 있었다. 純祖 3년·5년 의금부 「放未放成冊」에 대한 쟁집으로 ‘무고’ 당한 시파 세력의 사면·석방이 이루어졌고, 순조의 親政 이후, ‘甲子獄事’가 일어났다.
    1805년(순조 5) 純祖妃 金祖淳 집안의 金達淳이 사도세자 관련 사안을 제기했다. 김달순의 ‘邪說流行’은 도리어 시파 세력에 의한 벽파 세력 축출의 명분이 되었다. 심환지·김종수·김한록·김귀주 세력 등 벽파 세력의 ‘사설’은 시파 세력에 의해 역적들에 대한 討罪의 명분이 되었고, 시파 위주의 1806년(순조 6) ‘丙寅更化’라는 정국의 변화를 불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조에게 후사가 없는 상황과 강화도에 있는 사도세자의 자손들이 살아있는 상황에서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밝히는 辨誣 요청과 사도세자 관련 사안의 ‘사설’은 해소되지 않고, 핵심 懸案으로 內在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영어초록

    Ever since the “Tragedy of the Imo-year”(‘壬午禍變’), which refers to the incident during which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was killed in 1762(3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discussing the late Crown prince became a taboo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and any appeal regarding the matter was effectively forbade. But the Crown prince’s son (later Jeongjo) still remained as the heir apparent for the throne, so discussion of Sado was destined to prevail for the foreseeable future.
    When King Jeongjo ascended to the throne, an appeal asking for the reinstatement of Crown prince Sado’s honor(“Shin’weon, 伸冤”) was submitted, but King Jeongjo did not deviate from grandfather King Yeongjo’s last words. With his adherence to the law(“Jeongbeob, 正法”), all discussions of the Sado issue were declared as “Evil Talks(‘Saseol, 邪說’),” and was deemed as an act with the most treacherous intentions to subvert the regime itself.
    In 1792, Jeongjo’s 16th year, another “Saseol”-related appeal, requesting the reinstatement and posthumous commemoration of Sado’s honor, came from the members of the Noron, Soron and Southerner parties. These appeals argued that Sado’s name, which was undeservedly tainted by his enemies, should be cleared(“Byeonmu, 辨誣”) and the people who accused and framed him should be punished.
    Yet later, after King Jeongjo’s death, these evil “Saseol” talks, along with “Evil Studies(‘Sahak, 邪學,’ which referred to Christian studies[‘西學, Western studies’]), still considered as a treacherous political notion, were used by the Byeokpa(僻派) faction, in its efforts to expel the Shipa(時派) faction members in 1801, first year of King Sunjo’s reign.
    Then, after Sunjo began his own governance, Kim Dal-sun(金達淳), a member of the Kim Jo-sun(金祖淳, father-in-law of king Sunjo) family, raised the issue once again in 1805, Sunjo’s 5th year on the throne. This time, the discussion helped the Shipa faction in its expulsion of the Byeokpa faction, displaying a stark reverse from the situation that unfolded in 1801. The Saseol argument of the Byeokpa faction members such as Shim Hwan-ji, Kim Jong-su, Kim Han-rok and Kim Gwi-ju among others provided the Shipa faction with the excuse of launching a purge in 1806(the “Byeong’in Gyeong’hwa,” 丙寅更化, the “Byeong’in-year Reverse”), led by the Shipa members of the Noron and Soron parties.
    But the issue was far from over. As King Sunjo had no heir, and Crown prince Sado’s descendant were still living on the Gang’hwa-do island, appeals for Sado’s honor continued to be submitted to the king, and the Saseol issue remained as subject of periodic discussions within the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