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Domestic Reception of Makoto Shinkai's Animation through Text Mining : “A Focusing on the , ,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02
36P 미리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lt;너의 이름은.&gt;, &lt;날씨의 아이&gt;, &lt;스즈메의 문단속&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41호 / 367 ~ 40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우, 이상혁, 김강은, 박윤미, 신민경, 권민혁

    초록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단일한 중심이 존재하지 않는 리좀(Rhizome) 형태의 사회로 각각의 의미들이 단일한 의미로 수렴되지 않고 연결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의 서브컬쳐 비평가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1971~)또한 현대의 미디어 소비 환경 속에서 ‘단일한 의미’는 해체되어 설정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설정들을 조합한 작품을 소비자는 ‘읽어내기’ 를 통해 개별 작품의 배후에 존재하는 설정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은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존재는 의미의 생성자, 즉 전통적 개념의 작가가 아닌 소비자와 그들의 읽어내기임을 시사하는 주장이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재난 3부작’을 둘러싼 다양한 선행 연구들은 정밀하고 심도 깊은 연구들을 통해 창작자 층위에서 생성된 의미의 분석 영역에서 훌륭한 성과들을 도출해내었으나, 작품의 소비자들이 생성해내는 다양한 의미를 포착하는 연구는 다소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경유하여 어떤 의미를 생성해내고 있는지 분석하여 ‘풍성한 의미’의 가치를 연구의 영역에 편입시키고자 하였다. 본고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재난 3부작’으로 알려진 장편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의 국내 수용 양상 파악을 목적으로 빅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은 정제 단어의 출현 빈도를 바탕으로 원문 데이터와 정제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여 해석을 도출하는 ‘빈도 분석’ 방법과 CONCOR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관객의 ‘재난 3부작’ 수용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 결과 세 작품을 연작 관계로 파악하는 ‘재난 3부작’이라는 별칭은 스즈메의 문단속 을 수용자가 재난 영화로 인식함에 따라 공고해진 것이며, 너의 이름은. 과 날씨의 아이 를 재난 영화로 인식하는 양상은 빈도 분석 결과에서도, CONCOR 분석 결과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국내 관객은 분석 대상 작품군의 미디어믹스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미디어믹스 작품을 애니메이션 콘텐츠 이외의 ‘미디어 콘텐츠’로 인식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세 작품의 국내 수용 양상에 있어 두드러지는 특징은 해당 애니메이션 콘텐츠가 여행 콘텐츠와 관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작품의 감상 경험이 작품의 실제 배경지를 방문하는 계기가 되었거나, 일본의 여행 경험으로부터 작품을 연상하는 경향성이 파악되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modern society is a rhizome-like society with no single center, where meanings are not converged into a single one but are composed of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Additionally, Japanese subculture critic Hiroki Azuma (東浩紀, born 1971) argued that in the modern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singular meaning’ disintegrates into settings. Consumers, by ‘reading’ the combination of these settings, reach the underlying settings of individual works. This suggests that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the significant entities are not the creators of meaning, i.e., traditional concept of authors, but the consumers and their interpretation. Various preceding studies surrounding Makoto Shinkai's ‘disaster trilogy’ have achieved excellent results in the analysis of meanings generated at the creator level through detailed and in-depth studies, but research capturing the various meanings generated by the consumers of the work has been somewhat lacking. This paper aimed to incorporate the value of ‘rich meanings’ into the research domain by analyzing through big data analysis how cultural content consumers generate meanings through content. The paper utilized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gram ‘TEXTOM’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ception patterns of Makoto Shinkai's ‘disaster trilogy,’ known for the feature-length animations “Your Name,” “Weathering with You,” and “Suzum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imed to understand the domestic audience's reception of the ‘disaster trilogy’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refined words and comparing the original data with the refined data, and the CONCOR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ickname ‘disaster trilogy,’ perceived as a series connection of the three works, was solidified as “Suzume's Door-Locking” was recognized as a disaster movie by the audience, whereas the recognition of “Your Name” and “Weathering with You” as disaster movies was not found in the frequency analysis or CONCOR analysis results. Meanwhile, domestic audiences also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media mix of the analyzed works. They recognized media mix works as ‘media content’ beyond animation content and actively consumed them through various media. A notable feature in the domestic reception of the three works is that the animation content is related to travel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work became an opportunity to visit the actual locations depicted in the work or to recall the work from experiences of traveling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