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 연구 -관람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Narrative Design of Chinese Industrial Heritage Museum Space -Focusing on the Visitor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10
14P 미리보기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 연구 -관람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7호 / 629 ~ 642페이지
    · 저자명 : 노박문, 최경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산업유산의 보호 및 재활용을 위한 중요한 모델로 발전했다. 그러나 대다수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은‘소장품 중심’이념의 영향을 받아 낙후된 공간 디자인 개념, 부족한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 불만족스러운 관람 경험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어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디자인의 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관람객 중심’의 이념적 전환을 강조함과 동시에 서사성 디자인 방식을 도입하여 관람객 중심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 기준을 구축하고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 공간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본 연구에서는‘관람객 중심’의 이념, 산업유산 박물관, 서사성 디자인 개념 및 구성 내용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와 결합하여 다양한 유형의 관람객에 대한 현장 관찰법을 적용하여 9가지 수요 특성을 도출해 내고, 관람객과 산업유산 박물관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관람객 중심의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 기준을 구축하여 사례 분석의 틀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5개의 사례 대상을 선정하여 공간의 서사성 디자인에 대한 시각적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이를 통해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의 현황과 시사점을 탐구한다. (결과) 사례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은 관람객의 수요 특성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고 관람객의 감정과 행위에 대한 수요 특성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업유산의 전문성이나‘관람객 중심’이념을 간과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관람객 중심의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 기준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디자인 내용을 탐구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사례 연구를 수행한 결과 현재 중국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은 관람객의 정신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수요에서 현저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산업유산 박물관의 공간 서사성 디자인에 대하여 공간 서사 주제의 차원과 공간 관람 동선의 다양화를 중요시하는 제안과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산업유산 박물관의‘관람객 중심’의 서사성 디자인 연구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Museums plays a pivotal role in safeguarding cultural heritage and has emerged as a key strategy for preserving and reusing industrial heritage. However, the majority of Chinese industrial heritage museums, still adhering to an "object-centered" approach, are grappling with obsolete spatial design concepts, a lack of compelling narrative elements in their spaces, and visitor experiences that fall short of expectations. These issues have significantly impeded the advancement of museum spatial design. This study advocates for a paradigm shift toward a "visitor-centered" philosophy and the incorporation of narrative design techniques. The goal is to create a set of standards for visitor-centered narrative design in the spatial planning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s and provide insights into the current spatial conditions of Chinese industrial heritage museums, thereby charting a course for future narrative design in their spatial planning. (Method) This study began with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visitor-centered" philosophy, the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s, and narrative design, including their respective content and structure. Building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employed field observation technique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various visitor groups, identifying nine distinct requirem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and the narrative design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 spaces, this study established a set of standards for visitor-centered narrative design in industrial heritage museum spaces and developed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Subsequently, a visual analysis of narrative design in five case studie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narrative design in the spatial planning of Chinese industrial museums. (Results) The findings from the case studies indicated that the narrative design of spaces in Chinese industrial heritage museums is not fully aligned with the needs of visitors, often overlooking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expectations. This shortfall may stem from the specialized nature of industrial heritage or a failure to fully embrace the "visitor-centered" philosophy.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visitor-centered narrative design in the spatial planning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s, detailing specific design elements. The case study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gaps in meeting the spiritual and interactive needs of visitors within the narrative design of these spaces. Consequently, this study recommends enhancing the hierarchy of narrative themes and diversifying visitor pathways in future narrative design efforts for industrial heritage museums. These recommendations offer a reference for narrative designs that prioritize visitor experiences in the spatial planning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