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Pastoral Awareness from Saga’s Chinese Poetry - Focused on Hangaekgunyounjib)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0.04
26P 미리보기
漢詩 ‘四家’의 전원시 비교 고찰 — 『韓客巾衍集』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18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박종훈

    초록

    조선 후기 새로운 詩風의 중심에 있었던 ‘四家’는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이서구를 말한다. 『한객건연집』이나 ‘사가’의 각 개인에 대한 연구 성과는 적지 않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 논의가 ‘사가’의 당대 한시사의 위상을 밝히는 데에는 일조 했지만, ‘사가’라는 큰 틀로 각 시인에 대해 접근하여 ‘사가’의 각 시인에 대한 몰개성화를 초래한 한계를 낳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가’의 전원시를 중심으로, 여타의 시인과 변별되는 각 시인의 개성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는 ‘사가’ 시인이 그 틀 안에서 자칫 몰개성으로 치부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박제가는 전원의 풍경을 그림처럼 그렸지만 일정 정도의 거리감이 존재한다. 이는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곳과의 대척점에 있는 공간으로 전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기에, 은자적 삶의 공간이나 자족할 수 있는 위안처로 그렸는데, 이는 전원을 청아탈속의 공간으로 인식한 결과다. 유득공은 담박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동경 어린 시선을 두면서 끝없는 노동에 시달리는 농민들의 참담한 생활상을 그대로 시화했다. 관념과 추상에서 벗어나 전원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이덕무는 전원의 실경을 감각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조선적인 정취를 담아내려 노력했다. 이를 위해 농촌의 소소한 소재나 조선에서만 느낄 수 있는 정취를 작품 속에 그대로 담았다. 단순히 소재나 정취의 활용에만 그치지 않고 여기에 담긴 예술적⋅학술적 가치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했다. 이서구는 전원을 소박하면서도 이상적인 현장으로 그렸지만, 육체적 고단함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고뇌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했다.

    영어초록

    Saga means four men who were, centered on new poetic style of late Chosun, Park Jega, You Deukgong, Lee Deukmu, and Lee Seogu. A number of researches on Hangaekgunyounjib or Saga have been reported. Even though they helped indicating status of Saga in their poetic time, they brought about a limitations which was depersonalizing about each poet in Saga. Because they treated the poets as the one frame called Saga.
    So I researches each poet’s discriminatory individuality from other poets focused on Saga’s pastoral poems. It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Saga poets were treated as depersonalizing in Saga.
    Though Park Jega described the country like pictures, he had a certain distance. Because he appreciated the country as an antipode to his living place. He expressed the space of hermit life or contented consolation. This w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country as the space of purity and unworldliness. You Deukgong wrote poems described farmers’ gruesome lives suffered from endless labor. He had a longing vision in their frank life He described reality of the pastoral beyond of ideal and abstraction.
    Lee Deukmu exerted to express the flavor of Chosun and to describe the real of country sensuously and realistic. For this, he wrote small materials of the country or the flavor only in Chosun in his poems. Not only he simply used small materials and the flavor but also he discovered artistic and academic values in them and authorized new values. Though Lee Seogu described the country as an ideal site, he recognized the country such as physical tiredness and a space which it could not get out from the mental ag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