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 안에서 박물관 관람객의 오토커뮤니케이션 (A study of Museum Visitors’ Autocommunication in the Transition to Digital Medi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05
16P 미리보기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 안에서 박물관 관람객의 오토커뮤니케이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 / 59호 / 97 ~ 112페이지
    · 저자명 : 최보경

    초록

    코로나 19라는 전염병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혼란을 가져왔고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 라는 사회적환경 변화를 가져오면서 디지털 사회로 빠르게 전환시켰다. 새로운 일상이라는 뜻의 ‘뉴노멀(New Normal)’이라고 불리기도 했던 급격한 사회 변화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사회적 관계 맺기’의 형태와 내용이 변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박물관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박물관 전시 문화텍스트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과거에는 폐쇄적이고 일부 계층에게만 열렸던 박물관이라는 장소가 디지털 환경에서 접속할 수 있는 모두가 경험할 수 있는플랫폼의 형태로 성장하면서 개별적인 환경의 주체로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기를 통해 오토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면서 스스로의 정체성이 반영되며 새롭게 만들어지는 창조적인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확인하고 정리하기위해 러시아의 기호학자인 유리 미하일로비치 로트만(Yuri M. Lotman)의 “문화상호작용론(cultural interaction)”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문화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박물관 관람의 의미를 도출해 볼 것이다. 그리고전시텍스트 안에서 소장품과 관람객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오토커뮤니케이션(autocommunication)”으로 연결되는 관람의 형태가 과거와 현재의 박물관이 디지털 매체의 시대로 넘어가면서 어떤 문화적 기억으로 새롭게 만들어질수 있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The COVID-19 pandemic has caused unprecedented disruption across the globe and brought about a social landscape change called “social distancing” that has rapidly transformed the world into a digital society. In the process of rapid social change,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the ‘New Normal’, meaning a new everyday life, the biggest change has been the change in the form and conte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how the interaction of visitors with the cultural texts on display in museums has changed in response to social change. The museum, a place that was closed and open only to a select group of people in the past, has grown into a platform that can be experienced by everyone who can access it in a digital environment, creating a creativ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people, as subjects of an individual environment, perform autocommunication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reflecting their own identity and creating new ones. To confirm and summarize this, we will focus on the theory of “cultural interaction” by Russian semiotician Yuri M. Lotma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will derive the meaning of museum visit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how the form of viewing that leads to “autocommunication”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ons and visitors within the exhibition text can be newly created as a cultural memory as museums of the past and present move into the era of digital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