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들뢰즈 / 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대한 고찰-『천개의 고원』제6장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드는 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body-desire theory by Deleuze and Gattari: "How to make the Body Without Organ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05.07
41P 미리보기
들뢰즈 / 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대한 고찰-『천개의 고원』제6장 ‘기관 없는 신체’를 만드는 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문화 / 1호 / 133 ~ 173페이지
    · 저자명 : 신승철

    초록

    본 논문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가 1980년도에 출간한 『천개의 고원』의 12개 단편들 중에서 6장 ‘기관 없는 신체 만드는 법’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적 실험은 ‘왜 인간이 예속을 욕망하는가?’ 라는 스피노자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20세기에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두 사람의 ‘욕망과 신체’에 대한 분석의 출발점은 스피노자와 홉스를 대결하면서 시작된다. 스피노자에게 욕망은 자기보존욕구라는 긍정적인 인간존엄의 원천이며, 소통과 변용을 통해 민주주의를 형성할 역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홉스에게 욕망은 전쟁상태를 유발하는 ‘권력적 욕망’과 이러한 힘에 대한 방어의 성격을 띠는 ‘자기보존욕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피노자의 신체가 능동적 변용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대상에 대한 합성과 조화를 형성할 수 있는데 반해, 홉스의 신체는 파편적인 충동으로 해체되어 있고 외부대상과 합성될 수 없는 수동적인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홉스는 초월적인 인공신체인 리바이어던을 요청한다. 이 두 사람의 신체론의 차이점은 근대에 대한 태도의 차이점에서 비롯된다. 즉, 스피노자가 근대를 신체의 내재적인 변용역량과 이성능력을 통해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사고한 반면, 홉스는 새로운 초월자인 주권질서의 국가이성의 형성과정으로 사고한다.스피노자는 근대라는 탈신화화과정이 갖고 있는 인간해방프로젝트를 신체와 욕망이론을 통해 진행시켜 낸다. 즉, 자유인의 신체와 욕망이 능동적으로 합성되어 기쁨과 사랑으로 향할 수 있으며, 예속이라는 수동적인 상태가 만드는 슬픔과 증오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에티카』를 통해서 스피노자는 삶의 욕망이라는 인간존엄을 기반으로 신체가 공통관념과 민주주의를 구성할 수 있는 변용능력인 사랑을 통해 인류가 해방을 맞이할 것이라고 논증한다. 그리고 들뢰즈는 스피노자의 ‘욕망과 신체론’을 계승하여, 사랑을 통한 해방의 전략을 현대화하려 한다. 들뢰즈ㆍ가타리는 홉스의 ‘탐욕이라는 권력욕망’과 ‘방어적 자기보존욕구’를 발생시키는 것이 신체간의 관계에서 비롯된다고 사고하며, 그러한 신체의 관계를 분리차별의 관계인 ‘이접’과 정체성을 의미하는 ‘통접’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한다. 이후 분리차별의 이접 개념은 ‘암적 신체’로, 정체성의 통접 개념은 ‘텅 빈 신체’로 전개된다. 들뢰즈는 차별에 맞선 소수자되기와 전체주의의 통일성에 맞선 ‘일관성의 구도’라는 개성을 존중하는 공통성을 주장한다. 들뢰즈는 스피노자적인 사랑의 합성에 기반 한 수평적 민주주의를 접속이라는 개념으로 주장한다.

    영어초록

    My master thesis attempts at a deep-level consideration on the Chapter 6. "How to Make the Body Without Organs" in Thousand Plateaus(1980) by Gille Deleuze and Felix Gattari. The actual task of my work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oststructuralism of Deleuze and Gattari on the focus of the body-desire-relation.The analysis of body-desire-relation and the philosophical experiment by Deleuze and Gattari begin with a theoretical confrontation with the theories of body and desire proposed by Spinoza and Hobbes. In Spinoza, desire means a necessary will to self-preservation (conatus) which gives a positive source of human self-respect and a political competence to form a democratic solidarity with others through communication and self-variation affected from other minds and bodies. On the contrary, by Hobbes, desire consists of an aggressive desire for power bringing about a war-state and a defensive desire of self-preservation against such a war-state. By his theory of body and desire, Spinoza carries through the modernity-project of human liberation implied by the process of demythologization. That is, the desire and body combinated actively in a free man can lead to delight and love, overcoming the sorrow made up through the passive surveillance to oppression.Deleuze and Gattari's theory of body and desire searches out the possibility of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association in the deepest level of human life, that is,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of human desires and bodies. Their concept of BWO gives a metaphysical and imaginative foundation to the practical effort to create non-institutional modes of life by projecting various ways of free corporeal existence which can be modified without limit. By such concept of body-desire-relation, Deleuze and Gattari look for the horizontal democratic relationship which liberates desires from distorted surveillance to body and maximizes the positive potentiality of body, which ultimately guarantee the coexistence of diverse individua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