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대격 조사 ‘-을’은 왜 개음절 뒤에도 분포하였을까-그리고 보조사 ‘-은’은 왜 그리하지 않았을까- (Why is the Accusative Particle {-ul} Distributed Even after Open Syllable in the 19th Century?-And Why Not the Auxiliary Particle {-u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19세기 대격 조사 ‘-을’은 왜 개음절 뒤에도 분포하였을까-그리고 보조사 ‘-은’은 왜 그리하지 않았을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100호 / 203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한별

    초록

    19세기 문헌어의 대격 조사 {-을}은 모음 뒤에서도 ‘-를’이 아닌 ‘-을’로 빈번하게 실현된다. 그런데 ‘주제ㆍ대조’의 보조사 {-은}은 동일한 환경에서 ‘-는’ 대신 ‘-은’으로 실현되는 일이 드물다. 전자는 후자보다 먼저, 더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는데, 둘 다 ‘개음절 뒤’라는 것 외에는 언어 내적 조건을 달리 상정할 수 없으며, 비언간 자료보다 언간 자료에서, 상류층보다 하류층 언간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현대 국어 자료까지 참고할 때 두 현상의 일차적인 동인은 /ㄹ/과 /ㄴ/ 약화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을}이 {-은}보다 이러한 ‘기이한’ 교체를 훨씬 더 많이 보이는 이유는, 비구개적 환경에서 /ㄹ/이 /ㄴ/에 비해 더 쉽게 약화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두 조사의 변화는, 기원적인 /-ㄹ, -ㄴ/에서 중가된 /-를, -는/이 분절음 약화와 동화라는 감쇄를 겪어 /-ㄹ, -ㄴ/으로 부분 합류되는 과정의 일환이다. 두 변화는 생리적인 동기로 발생한 데다가 어휘부까지 간소화한다는 점에서 서사자로 하여금 이형태 표기의 단일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그중 널리 확산된 {-을}의 /ㄹ/ 약화에 대해서만 그러한 표기상의 단일화가 시도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19th century Korean, the accusative particle {-ul} is frequently realized as -ul -을, not -lul -를, even after open syllable, whereas the auxiliary particle {-un} in the same environment does not quite often show such “weird” alternation, i.e. -un -은 instead of -nun -는. The former alternation spread earlier and more extensively than the latter did, but both had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common: no intralinguistic condition except “after open syllable;” more occurring in eongan (諺簡), vernacular Korean corresponden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an other documents; and more occurring in the eongans of the lower class than those of the upper class. The two alternations can be explained as /l/- and /n/-lenition respectively if Contemporary Korean data is taken into account as well. The reason why {-ul} shows such alternation much more frequently than {-un} is that it is easier for /l/ than /n/ to be lenited in non-palatal environment. The change of both particles is a part of process that the /-lul/ and /-nun/, doubled forms from /-l/ and /-n/, merge back with the original /-l/ and /-n/ respectively due to reduction. Both lenitions may cause orthographic unification of the two allomorphs of each morpheme since the two changes not only are physiologically-motivated but also simplified lexicon. Only /l/-lenition, the more widespread one, however, had a chance to be the subject of the orthographic 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