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바야시 다키지의 작품 속 제국주의적 폭력성 ‒「사람을 죽이는 개(人を殺す犬)」와 그 개작 작품을 중심으로‒ (The Imperialistic Violence in Takiji Kobayashi’s Works-Focusing on “The Dogs That Kill People” and its Adapt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3.11
13P 미리보기
고바야시 다키지의 작품 속 제국주의적 폭력성 ‒「사람을 죽이는 개(人を殺す犬)」와 그 개작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82호 / 47 ~ 59페이지
    · 저자명 : 김대양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바야시 다키지의 「사람을 죽이는 개」뿐만 아니라 개제개작된 「「사람을 죽이는 개」의 개작」과 「감옥방」도 함께 살펴보았다.
    우선 다키지가 작품에서 언급한 감옥방은 자본주의 초기에 광산, 임업, 토건 사업, 항만노동 등의 현장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특히 감옥방은 메이지 후기부터 쇼와 전기에 걸쳐 홋카이도, 사할린 등에서 최대의 사회문제이자 노동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를 누구보다도 먼저 인식한 다키지는 감옥방의 실체를 권력과 자본의 명령이 그 어느 곳보다 강하게 체험하는 곳으로 봉건성과 야만성이 공존하는 암흑세계로 표현하고 있다. 구속당하고 억압되어 자유롭지 못한 공간에서 노동자들은 사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인간 취급도 받지 못하고 오로지 노동만을 위한 감시의 대상으로서 존재한다. 다키지는 이런 비인도적이고 무법천지와 같은 양상을 보여주는 감옥방에서 노동자들의 학대를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다키지의 작품 속에 나오는 감옥방의 노동자는 사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인간 취급도 받지 못하고 오로지 노동만을 위한 감시의 대상으로서 존재한다. 그와 반대로 작품 속에 나오는 도사견은 일본 제국주의의 도구로서 노동자를 제압하고 정복하는 절대적 권력이자 정치적 도구로 다루어지고 있다. 사상도, 의식도 갖고 있지 않은 기계화되어 오로지 정복을 위해 이용되는 존재이다. 하지만 노예적인 노동자들에게 있어서 도사견은 두렵고 무서운 존재이다. 도사견을 통해 마주하는 폭력성은 약하고 힘없는 약자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도사견은 존재만으로 노동자들을 위협하는 존재이며 그 자체로서 불가해성 혹은 잔혹성을 상징한다. 이처럼 일본 제국주의의 정책 수행을 위해 만들어진 도사견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추악한 욕망과 광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다키지는 이런 감옥방의 잔혹한 이야기를 통해 노예적인 노동자의 부조리적 상황과 사람을 죽이는 기계인 도사견을 만든 제도의 배경을 비판하며 고발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vers not only Takiji "The Dogs That Kill People" but also its adapted versions, including "The Adaptation of 'The Dogs That Kill People'" and "The Prison Cell." Initially, Takiji mentions the prison cell in his work, which was a common sight in various sectors such as mining, forestry, construction, and port labor during the early days of capitalism. Particularly, the prison cell was a significant social and labor issue in Hokkaido, Sakhalin, and other regions from the late Meiji era to the Showa era. Takiji was quick to recognize these issues, portraying the prison cell as a place where power and capital's commands were felt more strongly than anywhere else, depicting it as a world where feudalism and barbarism coexisted. Confined and oppressed in this unfree space, laborers were not guaranteed of privacy, were proper treatment as humans, and existed solely as subjects of surveillance for labor. Through the depiction of such inhumane and lawless aspects of the prison cell, Takiji realistically recreated the suffering of the laborers.
    In Takiji works, laborers were not guaranteed of privacy, are denied proper treatment as humans, and existed solely as subjects of surveillance for labor. In contrast, the guard dogs in his works are portrayed as tools of Japanese imperialism, used to subdue and conquer laborers. These dogs are mechanized without ideology or consciousness, existing solely for the purpose of conquest. However, to the laborers, who are akin to slaves, these guard dogs are objects of fear and dread. The violence expressed through the guard dogs is directed towards the powerless and vulnerable laborers. The guard dogs, by their mere existence, pose a threat to the laborers and symbolize inescapability or brutality. Through these guard dogs created for the execution of Japanese imperial policies, Takiji vividly shows the vicious desires and madness of Japanese imperialism. Takiji criticizes and exposes the background of the institution that created such brutal conditions for laborers akin to slaves and the mechanical dogs that kill people. In this way, he condemns and denounces the system that produced these inhumane narratives within the prison c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