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적 성과 검증을 위한 공동 연구-국내 4개 대학의 교육성과 진단을 중심으로 (Collaborativ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f Classical Reading Education : Focused on Diagnosing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four Korean Universiti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06
16P 미리보기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적 성과 검증을 위한 공동 연구-국내 4개 대학의 교육성과 진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8권 / 3호 / 91 ~ 106페이지
    · 저자명 : 윤승준, 권순구, 서보영, 최윤경, 최인선

    초록

    고전읽기 교육의 새로운 부상은 최근 교양교육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는 고전읽기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국내 4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고전읽기교육의 성과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고전읽기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과를 거둘 수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수도권 2개 대학과 충청권 및 대구⋅경북 지역에 각각 위치한 1개대학, 총 4개 대학에서 2023학년도 2학기에 고전읽기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총 339명을 대상으로조사한 결과, 고전읽기 교육은 대학별 교과목 운영의 특성이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해역량은 물론의사소통역량, 창의역량, 문제해결 효능감을 모두 증진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고전읽기 교육은상황이나 맥락에 따른 읽기, 텍스트에 대한 입체적 읽기, 추론적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전읽기 교육은 함께 수업을 듣는 동료 학생들과의 토론 및 토의, 성찰적 글쓰기를 통해서 내용에대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이해는 물론 자신이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내용이나 의미까지도 새롭게찾아내게 함으로써 스스로 성장하고 성숙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와 같은 경험은 학생들의창의역량 함양 및 문제해결 효능감 증진이라는 결과와 맞물리면서 고전읽기 교육의 성과를 뒷받침하였다. 고전읽기 교육은 또한 학업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 흥미만이 아니라 상황적 흥미까지도 긍정적으로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에 대한 학생들의 이와 같은 의지와 태도의 변화는 능동적 학습 태도를형성하는 것과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전읽기교육은 사고의 폭을 넓히고 깊이를 깊게 하며,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갈증을 충족시켜 줌으로써자신의 삶과 학업에 대한 의지와 자세를 새롭게 한다는 성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그러한 교육성과가 특정한 개별 대학 차원에서 확인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각기 다른수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4개 대학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는점에서, 이번 연구는 고전읽기 교육의 보편적 성과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교육성과를 야기하는 구체적인 요인들에 대한 보다 정치한 분석과 효율적 교육 방법에대한 모색은 후속 과제이다.

    영어초록

    The new rise of classical reading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performance of classical reading education through pre- and post-surveys of students takingclassical reading courses at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analyze the results to determine what specific outcomes classicalreading education can achieve. Based on a total of 339 students who took a classical reading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of the 2023 academic year at four universities, two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ne each in the Chungcheongbuk-doand Daegu/Gyeongbuk regions, the results showed that classical reading education promotes not only reading comprehensionbut also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efficacy, despit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courseoperation of each university. In particular, classical reading education was found to foster contextual reading, thethree-dimensional reading of texts, and inferential reading. Through discussions and debates with classmates, reflective writing,and reflection, the classical reading experience allows students to grow and mature by developing a precise and in-depthunderstanding of the text, as well as through the discovery of new content and meanings that they hadn't noticed before.
    These experiences, coupled with the results of fostering students' creativity and increasing their problem-solving efficacy,support the benefits of classical reading. Classical reading has also been shown to positively change students' personal andcontextual interest in academics. This change in students' willingness and attitude toward academics is very important becauseit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an active learning approach. This study confirms that classical reading educationhas the effect of broadening and deepening thinking, stimulating and satisfy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irst for knowledge,and renewing students' commitment and attitudes toward their lives and their studie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se outcomeswere not identifi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but were common to four universities in different regions, servingstudents at different levels, and operating in different ways, proves this study to be an objective confirmation of the universaloutcomes of classical reading education. A more politicized analysis of the specific factors that drive these outcomes andthe 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is a future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