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자문화권에 대한 재검토 - 동아시아 3개 국어에 있어서의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하여 - (Reconsidering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Regarding Divergence in the Phonetic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n Countr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5.06
35P 미리보기
한자문화권에 대한 재검토 - 동아시아 3개 국어에 있어서의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8권 / 213 ~ 247페이지
    · 저자명 : 성명진

    초록

    동아시아 3개국을 하나의 공동체로 생각하고 국가 간의 문화적 경제적 학술적 교류를 증진하려고 하는 움직임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그리고 그 배경 뒤에는‘한자’라는 문자를 매개로 한중일 세 나라가 공유해 온 언어와 사상, 문화적 유사성을통하여 다른 나라들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호 교류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기대감이 존재한다. 이들 세 나라를 통틀어 ‘한자문화권’이라고 일컫는 것은 바로그 유사성 형성의 매개체인 한자의 역할과 영향력에 무게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한중일3개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자의 종류와 형태를 선정하고 그 숫자를점차 확대해 나가자는 것을 취지로 하는 각종 국제회의가 개최되어 왔다. 그러나중국과 일본의 한자 간략화의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추진되어 온 소리가 같은 한자를이용한 바꾸어 쓰기나 각국에서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한자와 그 용법이 만들어낸새로운 한자어, 동음이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한자 한자어의 변경 혹은 대체로 인한 변화를 간과한 채 한자의 형태만을 통일하려고하는 시도가, 실제적으로 국가 간의 상호 교류 증진의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한 한중일 각국의 독자적인 한자 사용 실태를구체적인 예시를 통하여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설립과 발전을위하여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t is a common misconception that it is easy for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o understand each other due to the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similarities that they sha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This way of thinking has led some to believe that these three countries should grouped together as one community (a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and to the proposal that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standardized in these countries.
    As a result,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have been held with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form, kind, and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that can be jointly used in these three countries. However, these meetings have proceeded without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linguistic significance of such a movement and about whether it is effective and meaningful to unify the forms of characters. They have also not considered the changes in meanings and usages of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occurred in each country over time.
    This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s phonetic equivalents in modern China, the simpl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a and Japan, changes in the usage of certain characters in Japanese due to the potentially negative impression they might give, and various kinds of attempts in Korea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hinese/Japanese loanwords which are no longer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due to the exclusive use of Hangul.
    Understanding similarities in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s both important and beneficial for promoting deeper mutual exchanges among these countries. However, to truly understand and make use of these similar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mprehend the differences in how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used in each respective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