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대중소설과 ‘전후(戰後) 여성’의 부표들 - 김말봉의 『푸른날개』 (1954), 『생명』 (1957)을 중심으로 (1950’s Popular fiction and Floating signifier of ‘Postwar Women’ -Focusing on Kim Mal-bong’s Puleunnalgae(1954) Saengmyeong(1957)-)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10
39P 미리보기
1950년대 대중소설과 ‘전후(戰後) 여성’의 부표들 - 김말봉의 『푸른날개』 (1954), 『생명』 (1957)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3권 / 2호 / 177 ~ 215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사회는 강력한 재건의 담론을 바탕으로 개발과 발전의 논리를 구축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성’은 종종 전후의 부산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기표화되었다. 여러 대중 매체와 문학 작품들을 통해 등장하였던 아프레걸은 전후의 실존을 성적 자유로 통속화하면서 재건을 위협하는 주체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재현불가능한 순간, 위기를 조성하는 상상된 공포로 기록되었다. 이와 같은 1950년대 여성 재현의 문법 속에서 김말봉의 『푸른날개』와 『생명』은 새로운 여성 재현의 가능성을 드러낸다. 낭만적 사랑의 서사를 통해 숭고한 사랑의 이상과 이를 위협하는 여성들의 다양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김말봉의 작품은 전후 여성의 재현가능성을 모색하면서 상상된 공포로 기능하는 여성 청년의 상을 재규정하고 이미 죽은 것으로 간주 된 미망인의 비애감에 공감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전후 여성의 기표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해준다.
    『푸른날개』와 『생명』은 ‘아프레걸’ 표상에서 사라졌던 윤리적이고 비판적인 여성 청년을 구체화함으로써 전후 여성 교양론의 롤모델을 구축해나간다. 그리하여 당대 여타의 소설들이 발화할 수 없었던 불행한 현실을 직접적으로 이야기하고 그것에 접근해 나가는 새로운 여성을 상상할 수 있게 만든다. 하지만 낭만적 사랑의 서사 구도 속에서 이들의 비판 정신은 극복 가능한 수단을 발견하지 못하고 다만 멜로드라마적 통속성으로 환원된다. 가난한 현실에 대한 청년 여성들의 신경증적 반응은 전후 청년 여성의 상에 놓인 폐쇄적인 재현의 구도를 실증한다. 이 같은 여성 청년들의 낭만적 사랑의 서사에서 주목할 것은 사랑의 결합을 방해하는 악녀, 중년의 여성들이다. 이들의 무절제한 욕망은 여성 청년들과 대비되면서 악의 표상으로 기능한다. 하지만 중년의 여성들이 추구하는 욕망은 모순적인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초월의 의지를 반영하면서 멜로드라마적 과잉을 통해 재현된다. 이들의 비극적 운명은 파토스적 정서를 유발하면서 낭만적 사랑의 서사로 봉합할 수 없는 극복불가능한 현실의 모순을 노출하게 된다.
    『푸른 날개』와 『생명』으로 대표되는 전후 김말봉 소설들은 대중적인 낭만적 사랑의 서사를 활용하면서 초월의 의지를 향하는 멜로드라마적 과잉의 효과를 성공적으로 달성한다. 이를 통해 호명 불가능한 여성의 목소리가 전달되고 전후의 재건 담론에 포함될 수 없었던 수많은 비극적 현실이 은유적으로 재현된다. 김말봉의 전후 대중 서사는 ‘아프레걸’이라는 타락한 여성의 기표를 대신하여, 재건되는 국가의 경계에 놓인 여성들을 지시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the Korean War, Korean society built a logic of development based on the forceful discourse of reconstruction. In this process, "woman" was often signified as a symbol of by-products of war. Après-girl, who appeared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literary works, emerged as a threat to reconstruction, meanwhile vulgarizing postwar existentialism into sexual freedom. Women who could not represent themselves appeared as imagined horror that created a crisis. In such a convention of female representation in the 1950s, Kim Mal-bong's Puleunnalgae (Blue Wings) and Saengmyeong (A Life) highlight the ideal of sublime love of young women contrasting older women's desires who threaten romantic love.
    Puleunnalgae and Saengmyeong build role models for postwar women by embodying ethical and critical young women who have disappear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près-girl. Thus, they enable us to imagine new women who directly speak about the tragedy of their lives that other writers could not utter or approach. Young women, however, could not find a means to overcome and pursue their critical attitude due to the limit of the romantic love narrative and could not but suture their anxiety to melodramatic conventions. The hysterical responses to the poor environment demonstrate reactions to the blockaded images of post-war women. What is noteworthy in the romantic love narratives is the evil woman who interferes with the union of love, middle-aged women. Their unrestrained desires function as a symbol of evil in contrast to young women. Those desires were reproduced through excessive narratives of melodrama and reflected the will to transcend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Their tragic fate provokes pathos, exposing the unsolvable contradictions of reality that cannot be sealed as a romantic love narrative.
    The post-war novels of Kim Mal-bong successfully achieve the effect of melodramatic excess toward transcendence while effectively utilizing popular romantic love narratives. They delivered the voice of women who could not articulate themselves and expressed the tragic realities that the reconstruction discourse of the post-war could not represent. Kim Mal-bong's post-war popular fiction diversified the signifier of post-war women, Après-girl, and they lead us to explore alternative ways to depict women on the border of the reconstructing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