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 -두 개의 전후(戰後), 젠더 정치를 통한 식민 기억의 (재)구성- (The Gendered Representation of Former Colonize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구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 -두 개의 전후(戰後), 젠더 정치를 통한 식민 기억의 (재)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28호 / 579 ~ 60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인

    초록

    이 글에서는 해방 직후 잔류 일본인이 한국전쟁 전/후 남한의 문화정치적구조에서 어떠한 굴절과 변용의 과정을 거쳐 기억되고 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 한반도 내 일본인은 미․소 점령군의 정책에 따라 약 1년에 걸쳐 송환되었다. 이 시기 잔류 일본인과 접촉․분리되었던 조선인의 경험은 실제 이들의 송환이 완료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구체화되어 재현되기 시작하였다. 식민의 잔여인 이들은 조선인들에게 ‘지금-여기’에서 공존하는 존재라기보다는, ‘기억’의 대상으로서 부재하는 자여야만 했던 것이다. 탈식민지화와 냉전질서의 구도 속에서 잔류 일본인에 대한 재현은 한편으로는 식민․해방의 경험을 어떻게 기억(/기념)할 것인가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후식민의 상황에서 일본과의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구축․상상할 것인가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기억․재현의 대상으로서 잔류 일본인이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식민 기억의 (재)구성을 둘러싼 젠더 정치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잔류 일본인에 대한 기억이 한국전쟁 이후에는 공산주의 치하 일본인 여성의 수난사로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반일주의와 반공주의가 착종된 가운데 식민 기억의 (재)구성과 한․일 관계에 대한 상상이 이루어졌던 맥락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s into how the memory/imagination of the remaining Japanese was distorted, acculturated, and restructured in the cultural and political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remaining Japanese on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returned during one year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US and Soviet Union occupation troops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people were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during that one year. The experience of contacting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emaining Japanese at that time began to be reproduced by being made clea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tual return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who were a remainder of colonization, had to be those who were nonexistent as the object of a “memory” rather than to be an existence that coexists “now-here” to the Korean people. Such a phenomenon is, in part, combined with the matter of how to remember/commemorate the experience of colonization and liberation, and, in part, it is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which way the relationship with Japan should be constituted and imagined after the colonial situation. Focusing on that most of the remaining Japanese who were established as the object of that memory and reproduction were limited to “women”, this article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gender policy surrounding the (re)structuring of a colonial memory. In particular, regarding narratives after the Korean War, they were composed of the ordeal history of Japanese women, centering on the “38 North Korea Japanese Camp”. With a focus on that, the article took a look into the context in which the (re)structuring of a colonial memory and imagina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ade while anti-Japanese ideology and anti-communism were entang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