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 (Two Gyeongin Railway Stations(京仁鐵道 停車場) Constructed in Hanseong(漢城) - Focusing on Gyeongseong Railway Station(京城停車場) and Namdaemun Railway Station(南大門停車場)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8.05
30P 미리보기
한성에 건설된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 - 경성정차장과 남대문정차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71호 / 93 ~ 122페이지
    · 저자명 : 최인영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노선인 경인선이 건설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경인선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한성에는 두 곳의 철도정차장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는 수도의 관문이 되는 철도정차장이 두 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1876년 세계를 향해 문호를 개방한 조선은 여전히 중국과의 연결 루트를 중요시하는 가운데 서양과 만나는 길목인 인천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인천에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에서 직항 증기선이 왕래하기 시작했고, 수도 한성과물리적 거리를 좁혀줄 경인철도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었다.
    조선에 철도가 도입된 직접적인 계기는 1894년 청일전쟁 발발직후 일본의 강압으로 맺어진 『朝日暫定合同條款』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이때는 영국, 미국, 독일, 러시아 등에서 공동으로 항의하면서 철도 건설로 이어지지 못했다. 조선철도의 부설은 1896년 아관파천 직후 시작되었다. 조선정부는 미국인 모스에게 경인철도의 부설을 허가하는 <<京仁間鐵路合同>>을 체결하였고, 이로부터 1년 이내에 모스는 기공식을 개최했다. 제물포에서 한성, 한성에서 제물포로 양방향에서 진행된 공사는 일본의 자금을 대여받은 모스에 의해 1898년까지 지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경성정차장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1898년 모스와 경인철도인수조합 간에 철도의 설계와 공사방법 등을 둘러싸고이견이 생긴 후, 다음해인 1899년부터는 일본의 경인철도인수조합이 직영으로공사를 재개했다. 1899년 9월 들어 경인철도의 제1공구에서 제3공구의 공사가 마무리되자, 9월 18일 제물포에서 노량진까지 경인철도가 개통되었다.
    이 무렵 경인철도에는 큰 변화가 생겼다. 수도의 관문으로 기능할 경성정차장외에 남대문정차장의 신설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이 남대문정차장은 한성에 건설될 경부철도의 정차장이었다. 1898년 9월 8일 경부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일본은 1년여 만인 1899년 9월 대한제국 정부와 협의하여 이 문제를 확정지었다. 이남대문정차장은 경인철도의 한강 이북일대 공사과정에서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한성에는 두 개의 경인철도 정차장이 들어섰다. 모스에 의해 건설된 경성정차장은 1905년 경부철도가 개통되면서 서대문역으로 변경된 후 1919년 폐지되어 사라졌다. 하지만 남대문정차장은 1923년 경성역이 된 이래 오늘날에도 서울을 대표하는 철도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orea`s first railway route Gyeongin lin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irst line, two railway s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capital of Korea, Hanseong, which means there were two railway stations being the gateways to the capital.
    Joseon opened its door to the world in 1876, a time when it start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Incheon as a path to meet the West as well as a connecting route to China, which was still considered crucial to Joseon. Direct steam ships to and from China, Japan and Russia started operating in Incheon, making it necessary for Gyeongin Railways to be installed to shorten physical distances between Incheon and Hansung.
    The installment of railways in Joseon originated from the forced signing of 『joiljamjeonghapdongjogwan(朝日暫定合同條款)』 ( Joseon-Japan Tentative Cooperation Provision) by Japan right after the breakout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in 1894.
    At the time, however, the construction of railways failed to initiate due to the joint objections by the UK, US, Germany and Russia and it started after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in 1896. Joseon signed <<gyeongingancheollohapdong(京仁間鐵路合 同)>> (Gyeongin Railway Cooperation Agreement) that permitted an American named Morse to construct the Gyeongin Railway and its groundbreaking ceremony was held within a year from the signing of the agreement. The dual railway construction connecting Hanseong and Jemulpo had been stalled several times due to difficulties in providing hefty construction costs but continued until 1898. It is speculated that Gyeongseong railway station was built during that time.
    After Morse and Gyeongincheoldoinsujohab(京仁鐵道引受組合) (Gyeongin Railway Acquisition Union) argued against each other ove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of the railway in 1898, the Japanese Gyeongincheoldoinsujohab (Gyeongin Railway Acquisition Union) took over and resumed the construction project since 1899. The construction work was completed for Zone 1 through Zone 3 of Gyeongin Railway in September, 1899, and the railway opened its section from Jemulpo(濟物浦) to Noryangjin(鷺梁津) on September 18.
    At that time arou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ailway. In addition to Gyongseong railway station as the gateway to the capital, a new decision was made to establish Namdaemun railway station. The station was to be installed for Gyeongbu railway(京釜鐵 道) to be set in Hanseong. Japan acquired its rights of construction of Gyeongbu railway in September 8, 1898 and one year after, it confirmed the deal in its consultation with the Korean Empire Government(大韓帝國 政府) in September, 1899. Namdaemun railway station was built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yeongin railway in the northern part of Han river(漢江 以北地域). As a result, two Gyeongin railway stations were built in hanseong. Gyeongseong railway station constructed by Morse changed its name to Seodaemun station(西大門驛) with the opening of Gyeongbu railway in 1905 and was closed in 1919. However, Namdaemun railway station(南大門停車場) is still being functioned today as the one representing Seoul ever since it became Gyeongseong station(京城驛) in 192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