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스 빅 데이터에 나타난 ‘독서’ 담론 분석: 11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ading” discourses in news-based big data : Focusing on 11 major daily newspaper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11
35P 미리보기
뉴스 빅 데이터에 나타난 ‘독서’ 담론 분석: 11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연구 / 57호 / 171 ~ 205페이지
    · 저자명 : 신선주

    초록

    본 연구는 뉴스 빅 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BigKinds)’에 나타난 ‘독서’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독서문화정책’시행 원년인 2009년을 분기점으로 이전 10년(1999년~2008년)과 이후 10년(2009년~2018년)으로 나누어 독서담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빅카인즈를 활용한 4가지 분석기법(키워드 검색, 연도별키워드 트렌드,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통해 시기별 독서담론에서 어떤 지배적 담론이 들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대상으로 ‘독서’와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지배적인 독서담론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1999년부터 2018년까지 11개 중앙 일간지에 나타난 ‘독서’ 키워드의 기사가 갖는 독서담론의 비중을 확인한 결과 1차시기(1999~2008)에 비해 2차시기(2009~2018)의 키워드 추출 건수는 증가하였으나, 전체 기사 게재율 대비 ‘독서’키워드 추출건수 비율은 1,2차시기 모두 0.4%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일간지에서 다루는 ‘독서’ 담론이 아주 미비함을 뜻하며, 뉴스기사에서 다루는 비율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독서문화진흥정책’에 비해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11개 중앙 일간지에 나타난 ‘독서’ 키워드 트렌드 분석 결과 ‘독서’가 다른 사회적 이슈들에 밀려 다뤄지지 않는 키워드에 속했으며, 일부 트렌드 추이가 올라가는 부분의 독서분야 이슈들을 살펴보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과 뉴스기사에서 다뤄지는 토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독서’가 개인의 담론으로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적 이슈를 이끄는 것이 사회적인 독서담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 관계도 분석과 연관어 분석은 1,2차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정부나 민간이 추진하는 독서관련 사업에 따라 관계도와 연관어 분석에서는 키워드 빈도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한점은 주제별 토픽분석기법인 ‘LDA’를 활용해서 토픽구조분석을 실시해야 했으나 실행하지 못함으로써 키워드 분석 중심으로 ‘독서’담론을 들여다보는 데 그쳤다. 또한 뉴스기사의 담론분석은 사회적 이슈가 큰 분야에서 보다 유용하게 분석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과 ‘독서’와 같이 사회적 이슈가 적은 분야에서는 이슈분석보다 정부의 독서정책과 방향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독서현장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더 주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2009, the “Reading Culture Policy” was implemented in X,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ddresses the ten years before (1999–2008) and after (2009–2018) and analyzes how the reading discourses in each period appear to investigate the “reading” discourses in “Bigkinds,” a news-based big data analysis system. Further, the study investigates, by stage, the social phenomena related to “reading” for the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process. It also identifies the dominant reading discourses by period, through four analysis techniques (Keyword search, keyword trend by year, relationship analysis, and related word analysis), utilizing “Bigkinds.”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importance of the reading discourses was examined by identifying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reading” in 11 major daily newspapers from 1999 through 2018. More articles were identified in Period 2 (2009–2018) than in Period 1 (1999–2008), but,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the occurrence of the keyword “reading” remained the same (0.4%). This means that “reading” discourses infrequently feature in daily newspapers. Despite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being actively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in news articles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for the past 20 years.
    Second, analysis of the trend of the keyword “reading” in these 11 major daily newspapers revealed that it was not dealt with behind other social issues. Examining the issues in the field of reading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trend revealed that they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with the topics dealt with in the news articles. This shows that “reading” has a limitation as an individual’s discourse and that the Government’s active leading of policy issues affects social reading discourses.
    Third, relationship analysis (and related word analysis) concerning “reading”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ods 1 and 2. However,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in the relationship and related word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reading-related projects were promoted by the government or the private sector.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opic structure analysis was not conducted utilizing “LDA,” a topic analysis technique. Rather, this study solely examined “reading” discourses, focusing on keyword analysis. Furthermore, analysis of the discourses of news articles could draw a more useful analysis in the areas that have more social issues. Additionall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s reading policies and directions in areas that have fewer social issues would be more important regarding increasing executive ability in the field of 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