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플란다스의 개> 내러티브 구조 분석 - 봉준호식 알레고리 구축과 푼크툼 (Narrative structure analyzation of the film “Barking Dogs Never Bite”: Bong Joon-ho’s allegory construction and punctum)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1.08
47P 미리보기
영화 &lt;플란다스의 개&gt; 내러티브 구조 분석 - 봉준호식 알레고리 구축과 푼크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수록지 정보 : 씨네포럼 / 39호 / 111 ~ 157페이지
    · 저자명 : 서정남

    초록

    봉준호는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감에 있어 알레고리를 구축해내는 일의 달인이다. 그가 온갖 종류의 비유적 기제를 동원하고, 수사적 기교를통해 구축해낸 약호들에는 관객이 세밀하게 관찰하며 적극적으로 침투해 들어갈 수 있는 균열과 틈새가 반드시 있다. 그는 자신이 만든 영화들 속 거의 모든 장면(sequence, scene, 그리고 때로는 개별 shot에서도) 속에서 그와 같은 일을 펼쳐낸다. 그리고는 관객의 안목을 믿고, 관객의 발견과해독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봉준호 감독이 과거에 했던 한 인터뷰로부터 힌트를 얻어진행하게 되었다. 이른바 ‘봉테일’이라는 별명에 관한 질문과 답변이었는데, 놀랍게도 그는 그 이전이나 이후, 어디서도 자신의 이야기 직조방식이나 영상(연출)미학에 대해 이보다 세밀하게 언급한 바가 없었다.
    자신의 모든 작품, 모든 장면에서, 봉준호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지혜와 자료들을 통해 ‘온갖 비유의 기제들’을 ‘약호화(codage)’해 감추고, 얼핏 드러내며 관객이 그 속으로 깊이 들어가 의미 발견과 해독(decoding)에이를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밝혔던 것이다. 그 결과로 관객의 마음속에서 ‘푼크툼(감정의 격동)’이 발현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모든 장면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와 같은 의미에서 그의 장편데뷔작인 <플란다스의 개>가 그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고, 완성도 면에서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매우안타깝다. 따라서 본 논고는 롤랑 바르트가그의 저서, 『밝은 방-사진에관한 노트(La Chambre Claire-Note sur la photographie)』에서 제공한 ‘푼크툼’ 개념을 좀 더 크게 확장해, 영화 <플란다스의 개>를 세밀하게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탁월한 이야기꾼 봉준호는 과연, 거의 모든 장면에서 관객의 발견을 기대하며 온갖 유형의 읽을거리를 구축해 놓고 있었고, 그것을해독할 때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하고 특별한 감정의 격동, 즉 푼크툼을,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을 우리에게 선물로 예비해 두고 있음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ong Joon-ho is a master of building allegory in unfolding his story. In the codes he mobilized all kinds of figurative mechanisms and constructed through rhetorical techniques, there must be cracks and crevices through which the spectator can closely observe and actively penetrate. He does the same in almost every scene (sequence, scene, and sometimes even individual shots) in his films. Then, he believes in the eyes of the spectator and demands the spectator's discovery and deciphering.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hints from an interview conducted by director Bong Joon-ho in the past. It was a question and answer about the so-called “bongtail”, but surprisingly, he has never mentioned in detail the way he weaved the story or the aesthetics of the film directing anywhere before or after that. In all of his works, in all scenes, Bong Joon-ho ‘codage’ hides the ‘mechanisms of all kinds of metaphors’ through all the wisdom and materials he can mobilize, revealing them at a glance, and letting the audience go deep into them and discover the meaning. He revealed that he was expecting to be able to reach over-decoding. As a result, he announced that he is doing his best in every scene, hoping that ‘Punktum’ will emerge in the minds of the spectator. In that sense, it is very regrettable that his feature debut, <Barking Dogs Never Bite> is relatively undervalued compared to his other works, and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erms of completeness. Therefore, this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Punktum’ provided in ‘Roland Barthes’; La Chambre Claire-Note sur la photographie, and expands the film <Barking Dogs Never Bite>, has been analyzed in detail.
    As a result, Bong Joon-ho, an excellent storyteller, has built up all kinds of reading materials in anticipation of the spectator's discovery in almost all scenes, and the various and special emotional turbulences that can be encountered when deciphering them, ‘punctum’ of text reading. One could clearly see that joy was reserved for the audience as a gi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