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 소비자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연구 (Children'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online privacy protec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09
26P 미리보기
아동 소비자의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행동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31권 / 4호 / 113 ~ 138페이지
    · 저자명 : 나종연, 김지혜, 한슬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온라인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 정보주체로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고,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동은 연령별 온라인 이용행태와 발달수준이 매우 상이하여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보호방안을 고려할 때 아동을 세분화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상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동뿐만 아니라 부모도 함께 상호작용하는 가족적 맥락의 접근이 필요하며, 연령에 따라 역량 강화 방안의 주체와 초점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아동은 인지발달이 완성되지 않았으며 정보주체로서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 이에 법정대리인의 역할이 중요하나 부모 또한 온라인상에서 개인정보보호 역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역량 강화 교육과 함께 부모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넷째, 현행의 법정대리인 동의 제도만으로는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사업자의 자율규제 등 추가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이용약관에 그림/영상/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식을 활용하여 아동의 발달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아동 친화적 고지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 개인정보보호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기존에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아동을 중심으로 연령별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으며, 아동의 발달수준 및 역량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ildren’s perception and responses to online privacy protection of Koreans in order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as consumers.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27 participa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regarding online privac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the onlin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with 617 completed responses from October 29 to November 4, 2019.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nline usage pattern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pply a polic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bdivided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online usage behavior. On top of that, in a similar way of above statement, the involvement and control of parents in online us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ir child’s age. I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nline privacy education through family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on with parents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higher gra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for the online privac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empowered their own competencies. Another point is that both the cognitive developments of children and the ability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as an information subject have not been fully developed. Thus, the role of the legal representative is important; however, the competencies of parents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is low. As a result of the above statement, parental competency education for online privacy is required along with child competency education. Furthermore, the current legal representative consent system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children's online privacy in the online environment, indicating that additional the supplementary policy is needed to reflect this reality. Even though it is not an online service provider directed to children, that is targeted to children are necessary to consider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roles in child protection. Lastl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rivacy policy.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required on how to provide privacy policy formats so that children can choose suitable types dependence on their development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