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극적 설치미술– 라이브 아트 전시회 <14개의 방>을 중심으로 (Theatrical Installation - focused on the Live Art Exhibition <14 Rooms>)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5.08
48P 미리보기
연극적 설치미술– 라이브 아트 전시회 &lt;14개의 방&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56호 / 299 ~ 346페이지
    · 저자명 : 이재민

    초록

    최근 50년 동안 예술계에서 있어왔던 다양한 변화들은 학문분과별로분리된 폐쇄적인 연구 틀로는 이해할 수 없게 되었다. 예술의 영역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수행적 전환, 혼종화 등을 통해 각 장르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그래서 다양한 예술 장르가 연결되고, 또 나아가서 융합되기도 한다 . 예술을 생산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탈경계 현상이일반화되었다면, 수용자 측면에서는 상이한 예술들이 관객의 다양한 감각을 동시에 자극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미적 경험이 가능하게 된다. 본논문에서는 연극적 설치미술을 예로 들어 탈경계 예술이 미학적으로 어떤 점에서 새로운지 분석했다. 그리고 설치미술에서 기원하는 연극적 모델이 연극계에 어떤 함의를 지닐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term “installation” in connection with art first appears in the 1960s. At first it is used to describe the way in which artworks are arranged at a place of installation. Then in the 1970s this gives rise to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rt”.
    Installation art is a spatial art form incorporating all the other traditional art forms paintings, drawings, photos, objects, readymades and films. As a result, it is establishing itself as "an extremely voracious art form" (Boris Groys).
    Since the 1990s installation art and theater have been converging. Installation art enacts in the museum a time-based series of events. The space itself vacillates between static tableau vivant and moving body art. As a result, the boundary between art in space and art in time is blurred. In this study I have analysed this deboundarisation of the arts using the live art exhibition "14 Rooms" (Basel 2014) as an example. I have described 14 different installation works with reference to the “Relational Aesthetics” formulated by Nicolas Bourriaud. In keeping with its convergence with the theater, installation art sets up an encounter between people in the museum. Theart works act as catalysts that work on museum visitors for a certain time. In this way art generates a community effect and brings about a feeling of fellowship that is scarcely possible in our world out side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