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조적 진화에 대한 두 개의 시선 ― 베르그손과 종합진화론 ― (De deux regards croisés sur l’évolution créatrice ― Bergson et la synthèse modern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창조적 진화에 대한 두 개의 시선 ― 베르그손과 종합진화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13호 / 143 ~ 171페이지
    · 저자명 : 이아름

    초록

    본 연구는 베르그손과 종합진화론에 따른 ‘창조적 진화’ 개념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베르그손의 ‘실증적 형이상학’의 이념을 해명하고 실증적 형이상학과 실증과학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실증적 형이상학은 경험과학들로부터 사실에 관한 자료들을 참조하여 이러한 사실들이 수렴하는 ‘사실의 선’을 따라 경험을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한다. 그런데 실증적 형이상학은 이 주장 내에서 고찰된 과학이론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근거로 제기되는 반론과 종종 마주한다. 이러한 반론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우리는 ‘창조적 진화’를 둘러싼 베르그손과 도브잔스키의 두 가지 다른 시선을 비교 고찰해 볼 것이다. 첫째로,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 1장에서 전개된 엘랑 비탈 가설의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도브잔스키의 『진화에 관한 시론』 마지막 장 <창조적 진화>에서 그가 제시하는 ‘창조적 진화’란 무엇인지, 진화의 ‘창조성’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어서 앞서 분석한 두 텍스트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조적 진화’에 관한 서로 다른 두 관점의 대립지점을 분석한다.
    베르그손에게서 ‘창조적 진화’란 개체를 관통하는 흐름인 생명이 진화의 역사 속에 펼쳐지는 끊임없는 창조적 활동인 반면, 도브잔스키의 ‘창조적 진화’란 생식과정의 결과로서 생겨난 각 개체의 유전자의 고유한 조합의 창조를 의미한다. 창조적 진화에 관한 두 이론은 과학의 발전에 따른 시대적 격차의 문제를 넘어서서 “진화론적 창조는 요소들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는가?”, “자연선택은 진화론적 변이의 심층적 원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에서 근본적으로 대립한다. 실증과학은 생명의 유기화 작업을 구성 요소들의 조립과 같은 제작의 작업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관점은 실용적인 영역에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익한 것이다. 베르그손이 과학에 대해 주장하는 요지는 실용적 영역의 논리를 순수 인식의 영역으로 확장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진화이론들은 상당한 수의 사실들에 적용된다. 그러나 실재는 과학이론이 취하는 부분적 관점으로 포착되지 않으며, 이러한 실재가 철학의 고유한 대상이다. 베르그손과 도브잔스키의 대립은 지속하는 실재에 대한 절대적 접근방식인 ‘직관’과 상대적인 접근방식인 ‘분석’의 대립이자, 넓게는 형이상학과 과학 간의 근본적 차이이다.

    영어초록

    Cet article a pour but de comparer les deux conceptions de « l’évolution créatrice » selon H. Bergson et une théorie de Synthèse moderne, de savoir, par cette comparaison, en quoi consiste la métaphysique positive bergsonienne,en considérant un rapport avec la science positive.
    Selon Bergson, la métaphysique ne consiste pas en systèmes qui se construisent par des spéculation pure. Elle consiste à proposer une hypothèse qui explique plusieurs phénomènes, prolongeant « des lignes de faits » où converge ce qu’obtient la science empirique. Or, la pertinence de cette métaphysique « positive », est-elle dépendante de celle de la science empirique que consulte la métaphysique « positive » ? T. Dobzhansky, un des fondateurs de la théorie de Synthèse moderne qui est entrée en scène du discours scientifique de l’évolution dans les années trente, soulève une nécessité d’une nouvelle explication scientifique sur l’emergence de nouveauté dans le cours de l’évolution. En même temps qu’il a rendu hommage à Bergson d’avoir saisi par le mot de « création » l’émergence de nouveauté, la non-répétabilité de l’évolution, il a insisté sur une nouvelle théorie qui a représenté l’état « actuel » de la connaissance biologique, parce que celle-ci dont Bergson avait disposé était largement dépassées à son époque.
    Quant à l’évolution créatrice, Bergson et Dobzhansky en ont différents conceptions : chez Bergson, elle signifie fondamentalement une activité créatrice de la vie en tant qu’un courant traversant des individus vivants, vie qui découle dans une histoire de l’évolution ; chez Dobzhansky, la créativité évolutionnaire tient aux nouvelles compositions du gène que possède chaque individu, qui résulte de la reproduction. Entre les deux doctrines, il y a une confrontation en profondeur, au delà-de la distince historique du développement de la théorie scientifique de l’évolotion, concernant ces questions : la création évolutionniste consiste-elle en synthèses des éléments? ; la séléction naturelle est-elle une cause profonde de la variation évolutionnaire? La science positive se représente le travail de l’organisation du vivant comme celui de fabrication qui consiste à assembler des parties de matière. Mais, cette perspective nous permet de manier des phénomènes du vivant dans un champs pratique. Ce que Bergson insiste contre un regard scientifique, c’est qu’il n’est pas convenable de transporter un aspect de l’action utile dans le domaine de la connaissance pure. Chaque théorie scientifique sur l’évolution s’applique aux nombreux faits des vivants. Néanmoin, la réalité en dépasse tous leurs explications, parce qu’elles prennent un certain point de vue partiel. L’objet de la philosophie, ce n’est pas autre chose que cette réalité qui dure, qui est saisie par l’intuition. Cette confrontation entre deux conceptions sur « l’évolution créatrice » montre un écart, en sens bergsonien, entre la réalité et ce qu’on l’analyse partiellement, autrement dit, écart indépassable entre la métaphysique et la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